국내·외

이 대통령 “이태원 참사 깊은 사과…국가가 책임”

“진실 끝까지 밝히고 모두 바로잡겠다” 3주기 맞아 정부 차원 첫 공식 추모식 김민석 국무총리가 2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에서 눈물을 닦고 있다. 왼쪽부터 김 총리, 송해진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우원식 국회의장.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맞아 “미흡했던 대응, 무책임한 회피, 충분치 않았던 사과와 위로까지, 이 모든 것을 되돌아보고 하나하나 바로잡아 가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29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3주기 기억식’ 행사에서 영상 추모사를 통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대통령으로서 참사 유가족과 국민들께 다시 한번 깊은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3년 전, 서울 한복판 이태원 골목에서 159명의 소중한 생명이 너무나 허망하게 우리 곁을 떠났다”며 “즐거워야 할 축제의 현장이 한순간에 아비규환의 현장으로 바뀌었던 그날의 참상을 결코 잊을 수 없다”고 전했다. 아울러 “그날, 국가는 없었다”며 “지켜야 했던 생명을 지키지 못했고, 막을 수 있던 희생을 막지 못했다. 사전 대비도, 사후 대응도, 책임지는 사람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 국가가 책임지겠다”며 “다시는 국가의 방임과 부재로 인해 억울한 희생이 발생하지 않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국가가 존재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이 기본과 원칙을 반드시 바로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애끓는 그리움과 헤아릴 수 없는 고통을 짊어지고 살아가는 유가족들에게 국가가 또다시 등 돌리는 일, 결단코 없을 것”이라면서 “진실을 끝까지 밝히고, 국민의 생명이 존중받는 나라, 모두가 안전한 나라를 반드시 만들겠다”고 부각했다. 한편 이날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행사는 정부 차원의 첫 공식 추모행사로 행정안전부와 10·29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10·29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서울시가 공동 개최했다. 정부가 유가족과 공동으로 공식 추모행사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행사는 정부 대표가 처음으로 참석해 10·29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진정으로 추모하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자리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행안부는 강조했다. 정부 대표로 김민석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우원식 국회의장, 정당·종교계 인사, 시민단체 관계자, 일반 시민 등 약 2000명이 함께했다. 오전 10시29분부터 1분간 울린 추모사이렌과 함께 희생자를 기리는 묵념으로 시작된 기억식에서 유가족과 시민들은 이태원 참사 상징색인 보라색 재킷 등을 입고 애도의 뜻을 전했다. 행사에서 송해진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오늘은 참사 3년 만에 정부가 처음으로 유가족과 시민들 곁에 섰지만, 이것은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오늘의 약속이 내일의 행동으로 증명돼야 한다”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참사의 재발을 막기 위해 ‘생명안전기본법’을 반드시 통과시키겠다는 뜻을 밝혔다. 조아미 기자

국내·외

도쿄서 만난 美·日 국방 “中 억지 위한 동맹 강화”

일 “방위비 증액”…미 “신속히 집행” 다카이치 내각 ‘방위력 강화’ 재확인 미국과 일본 국방장관이 29일 도쿄 방위성에서 만나 미·일 동맹 중요성을 확인하고 지역 안보 정세를 논의했다고 교도통신과 NHK 등이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전날 도쿄에서 정상회담을 한 데 이어 이날은 아시아 순방 중인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과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방위상이 대좌했다. 다카이치 내각 출범과 함께 지난 21일 취임한 고이즈미 방위상이 헤그세스 장관과 대면한 것은 처음이다. 고이즈미 방위상은 회담 이후 기자회견에서 다카이치 내각의 방위비(방위 예산) 증액과 방위력 강화 방침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그는 “회담에서 주체적으로 방위비 증액을 지속하겠다는 결의를 전했다”며 “일본 방위력을 더욱 강화해 미·일 동맹의 억지력, 대처력을 한층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동맹인 미·일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책임을 다할 것”이라며 “헤그세스 장관도 이에 대해 강한 지지를 보냈다”고 덧붙였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24일 국회 연설에서 일본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방위비 2% 달성 시점을 2027회계연도(2027년 4월~2028년 3월)에서 2025회계연도로 2년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또 방위력 강화 지침을 담은 3대 안보 문서를 조기에 개정하겠다는 의지도 나타냈다. 헤그세스 장관은 일본의 방위비 증액과 관련해 ‘신속한 실행’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면서도 구체적인 액수를 요구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미·일 동맹은 중국 억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날 열린 미·일 정상회담에서도 다카이치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일본의 방위비 증액, 방위력 강화 방침을 전달했다. 양 정상 간에도 방위비와 관련해 숫자를 염두에 둔 대화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다카이치 총리에게 “일본의 방위력을 대폭 강화하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일본에 방위비를 GDP 대비 3.5%까지 올릴 것을 비공식적으로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일 국방장관은 이번 회담에서 지휘·통제 체계 향상, 방위장비·기술 협력 강화 등에도 합의했다. 한국, 호주, 필리핀 등과 협력을 추진한다는 데에도 뜻을 같이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