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원 의원 주관 세미나서 내용 공개
3개 해양전투단 또는 강습상륙단 구상
탑재 무인기는 국내 연구개발 거쳐 획득
해양 무인체계 대잠전 활용안도 소개
|
해군이 2030년 후반을 목표로 일명 드론 항공모함이라고 불리는 ‘다목적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항공모함(MuM-T Carrier)’ 도입을 추진 중인 가운데 세부 전력 확보 계획이 국회 세미나에서 확인됐다.
해군은 드론 항공모함 등 유·무인 항공기 탑재가 가능한 지휘함 3척과 기동함대 예하 3개 기동부대, 유·무인 전력을 편성해 3개의 유·무인 해양전투단 또는 유·무인 강습상륙단을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8일 오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유용원 의원이 주관하고, 대한해협해전전승기념사업회가 주최한 ‘한국형 유·무인 전력 탑재 항공모함 건조와 무인 해양전력 건설 방안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이 공개됐다.
유 의원과 해군에 따르면 지휘함인 드론 항공모함은 기존 경항공모함 건조사업을 조정해 확보를 추진한다. 경하 톤수는 3만 톤급이며, 건조 비용은 2조 원 중후반대, 설계 및 건조까지는 약 11년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 다른 지휘함인 독도·마라도함은 무인기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성능 개선을 추진한다.
탑재 무인기는 국내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획득할 예정이다. 오는 11월까지 이뤄지는 국방정책연구를 통해 기종·수량 등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상륙기동헬기·공격헬기는 마린온과 마린온 기반 공격헬기로 구성된다.
운영 병력은 레이다 기지 무인화와 경계 병력 민간 전환 등으로 확보한다. 또한 사업에 가장 중요한 재원은 향후 방위력개선비를 통해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무인체계를 활용한 한국형 항공모함 개발 방향을 비롯해 해양무인체계의 대잠전 활용 방안 등이 소개됐다. 토론자로는 안승회 국방홍보원 기자, 전성환 해군본부 전투함전력과장, 서희원 국방과학연구소 제5기술연구원장, 김대홍 KBS 앵커가 나섰다.
안 기자는 “한국형 항공모함 도입은 단순한 무기 확보가 아니라 대한민국 국방전략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중대한 결단”이라며 “다만 어느 한 주체의 결정만으로는 추진하기 어렵기에 국민적 공감과 사회적 합의, 즉 함께 논의하고 방향을 정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용모 해군참모총장은 최성혁 참모차장이 대독한 축사에서 “미래에 유·무인 전력을 통합한 MuM-T Carrier를 기반으로 해양전투단을 구성하는 꿈을 키우고 있다”며 “해군은 변화에 선제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응해 대한민국이 해양강국으로 가는 길을 만들어 내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 의원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대한민국에 해양력 강화는 생존권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오늘 이 자리가 우리 해군이 나아갈 방향과 국가의 미래 해양전략을 함께 모색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피력했다. 임채무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