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 LIG넥스원과 체계개발 계약
40여 년간 해외 기술에 의존해온 소해함의 핵심 장비를 국내 기술로 개발한다.
방위사업청(방사청)은 30일 LIG넥스원과 ‘기뢰탐색음탐기’와 ‘복합감응기뢰소해장비’의 체계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각각 약 917억 원과 약 801억 원이다.
소해함은 선박이 접근하면 폭발해 ‘바다의 지뢰’로 불리는 기뢰를 제거해 ‘바닷속 청소부’로 불리는 특수 목적 함정이다.
소해함은 음향·자성을 최소화하는 특수 선체를 갖추고, 기뢰탐색음탐기와 복합감응기뢰소해장비 등을 통해 기뢰를 탐지·제거함으로써 해상교통로를 확보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소해함의 핵심장비인 기뢰탐색음탐기는 복잡한 해저 지형에서도 바닷속에 숨어 있는 기뢰를 탐지해 함정이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복합감응기뢰소해장비는 함정이 발생시키는 음향·자기·수압 변화 등의 신호를 인위적으로 재현해 기뢰가 실제 함정이 접근한 것으로 오인하도록 유도하고, 조기에 폭발시켜 항로를 확보하는 장비다.
방사청은 향후 국산화된 두 장비가 개발 중인 차기 소해함(MSH-Ⅱ)에 탑재되면 우리 해군은 기뢰 탐지부터 제거까지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장비 개발과정에서 축적하는 기술은 차세대 무인 소해 전력으로 진화를 위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윤병노 기자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