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위·국방부·방사청 공동 세미나
‘안티탬퍼링 기술’ 필요성 한목소리
|
K방산 원천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무기체계 안티탬퍼링’ 추진 세미나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성일종 국회 국방위원장과 국방부·방위사업청이 공동 주최한 세미나는 방산 수출의 급속한 확대와 맞물려 기술 유출 방지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에 대한 국민적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개최했다.
안티탬퍼링(Anti-Tampering)은 최근 방산 수출 확대로 발생할 수 있는 비인가자들의 위·변조 시도를 비롯해 역공학 분석 등 무기체계 전반에 대한 기술 유출을 방지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첫 번째 주제발표로 방사청 박찬수 소령이 국방무기체계 기술보호 현황과 기술 탈취 위협 증가 및 다른 국가들의 기술 탈취 사례 등에 관해 소개했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서는 최창희 세종대 교수가 안티탬퍼링 선두주자인 미국의 안티탬퍼링 프로세스와 전담 조직, 우리나라의 안티템퍼링 프로세스 및 발전 방향을 설명했다.
양광진 공군사관학교 교수는 이미 개발된 안티탬퍼링 기술의 구체적인 적용사례를 공개했고, 마지막 발표자로 나선 한인성 국방과학연구소 박사는 한국형 모듈식 개방형 시스템(K-MOSA)을 필두로 무인 무기체계에 공통 적용할 수 있는 안티탬퍼링 기반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성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최근 국제 안보 환경이 불확실해지면서 해킹 등을 통한 기술 유출이나 불법 복제 시도가 지능화하고 있다”며 “방산 수출의 확대와 맞물려 안티탬퍼링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만큼 다양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석종건 방사청장은 축사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안보 환경 속에서 방산기술 유출을 방어하기 위한 안티탬퍼링 기술의 중요성은 어느 때보다 커졌다”며 “오늘 세미나가 방산기술 유출을 차단하고 무기체계 안티탬퍼링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송시연 기자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