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 지자체 분산 시스템 통합
2027년부터 3년 2598억 원 투입
대한민국에 세계 최초로 ‘국가 단위 119 신고 시스템’이 구축된다. 소방청은 10일 각 시·도별로 분산 운영되던 119 신고·접수, 출동지령 체계를 하나의 국가 단위 플랫폼으로 통합하는 차세대 119 통합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고 밝혔다. 일부 소규모 도시국가를 제외하고 국가 차원에서 긴급신고 시스템을 완전히 통합하는 것은 세계 최초의 시도라고 소방청은 설명했다.
소방청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기존 시스템이 도입된 지 20년 만에 이뤄지는 개편 작업이다. 변화한 사회 환경과 기술 발전을 반영해 신고부터 출동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혁신적으로 재설계한다는 방침이다.
소방청은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에 기반한 기존 체계 전면 재구성’을 사업의 핵심목표로 설정했다. 2027년 시작하는 사업에는 3년 동안 총 2598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차세대 시스템에서는 출동지령 체계가 개편된다. 현재는 행정구역별로 관할권이 정해져 있지만 차세대 시스템은 출동 가능한 가장 가까운 인력·장비를 자동으로 계산해 배치하는 기능이 구현된다. 이로써 대형 재난이 발생하면 시·도 경계를 초월해 즉각·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소방청은 기대하고 있다.
또 AI 기술을 적용한 음성신고 분석 기능도 도입된다. 국민이 119에 신고하면 AI가 실시간으로 음성을 분석해 사고 유형과 위치, 긴급성을 자동으로 판단하고, 접수할 수 있도록 설계할 예정이다. 이로써 신고 내용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도 신고자의 말을 놓치지 않고 핵심 정보를 추출해 접수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시스템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업무 연속성과 안정성도 높아질 전망이다. 재난 상황에서 특정 지역의 상황실이 마비되더라도 다른 지역에서 즉시 대체가 가능해 전국 어디서든 장애 없는 무중단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소방청은 차세대 시스템을 구축한 뒤 음성뿐 아니라 텍스트,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신고를 AI가 인식·처리하는 방향으로 확장해 고령자, 장애인, 외국인 등 신고에 어려움을 겪는 안전 취약 계층에 실질적 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대기업 참여 제한을 풀어 기술력 있는 IT 기업의 적극 참여를 유도하기로 했다. 맹수열 기자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