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급유로 중간 기지 착륙없이 목적지까지 ‘F-15K’ 10여 대 ‘KF-16’ 20여 대 급유 가능 독도·이어도 등 임무시간 1회 급유 시 1시간 증가 원거리 작전능력 끌어올려 KADIZ 전역 작전
공군의 다목적공중급유수송기, KC-330 시그너스. ‘하늘의 주유소’라고도 불린다. 이 항공기는 우리 공군의 숙원 사업이었다. 공군은 1993년 최초로 공중급유기 도입을 위한 소요제기를 했다. 2015년 6월 국방부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에어버스사(社)의 A330 MRTT(MultiRole-Tanker/Transporter)로 기종이 결정됐으며, 1개월 후 계약이 체결됐다.
공군은 2018년 9월 5공중기동비행단 예하에 261공중급유비행대대(261대대)를 창설해 공중급유기 운용의 터를 닦았다. 이 같은 노력으로 1호기(KC-330)가 국내에 도입됐으며 현재는 도입하기로 했던 기체들 모두 전력화가 완료돼 맡은 바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하고 있다. 최초 소요제기 후 26년 만에 전력화된 공중급유기는 우리 공군의 전투력과 작전임무 반경을 획기적으로 늘려주고 있다.
KC-330 시그너스 전력화에 따라 일어난 공중작전의 가장 획기적인 변화는 전투기 행동반경의 확대와 체공시간 및 무장탑재 능력의 증가다. 이를 바탕으로 군사작전 전(全) 영역에 걸쳐 항공우주력의 작전 범위를 한층 확대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내륙에서 이륙한 전투기가 독도·이어도 등에서 원거리 공중작전을 펼칠 때 연료·무장 문제로 임무 수행 능력이 제한될 수 있다. 공중급유는 이러한 장애물을 한 번에 뛰어넘게 해주고 전투기가 해외에 전개할 때도 공중급유를 통해 중간 기지 착륙 없이 한 번에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게 해준다.
공중급유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최소 승무원은 조종사 2명과 급유통제사 2명, 기상적재사(Loadmaster) 2명이다. 공수 및 해외 재난구호 등 임무 형태에 따라 승무원 구성은 변경이 가능하다. 조종사는 좌·우측 조종석에 2명이 탑승해 승무원을 지휘·감독하고, 항공기 조종 업무를 수행한다. 급유통제사는 급유장비와 시스템을 운영하고, 급유받는 항공기를 통제한다.
KC-330 시그너스는 전폭 60.3m, 전장 58.8m, 전고 17.4m에 최고 속도는 마하 0.86이다. 최대 순항고도는 1만2600m, 최장 항속거리는 1만5320㎞, 최대 이륙중량은 51만6000파운드(약 23만3000㎏), 최대 연료탑재량은 24만5443파운드(약 11만1550㎏)다. 현재 우리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는 최대 10여 대, KF-16은 최대 20여 대에 급유할 수 있다. 300여 명의 인원과 47톤의 화물도 운송할 수 있다.
특히 KC-330 시그너스의 전력화는 원거리 작전능력을 대폭 끌어올려 독도·이어도를 포함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전역에서 효과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KC-330 시그너스가 없을 때 F-15K 전투기는 독도에서 약 30분, 이어도에서 약 20분, KF-16 전투기는 독도에서 약 10분, 이어도에서 약 5분 동안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전투기에 1회 공중급유를 하면 작전임무 가능 시간이 약 1시간씩 증가한다. 이를 바탕으로 KADIZ에 사전 통보 없이 무단 진입한 외국군 항공기는 물론 각종 우발상황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최근 들어 KC-330 시그너스는 많은 활약을 펼쳤다. 해외 파병부대 교대 임무, 6·25전쟁 국군전사자 유해 봉환 임무, 일제강점기 ‘청산리·봉오동전투’ 승리의 주역인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 임무, 호주 요소수 긴급 수송 임무, 아프가니스탄 현지인 협력자 수송 미라클 작전 등 다양한 작전과 임무에 투입돼 항상 기대 이상의 임무 목표를 달성했다.
공군은 다목적공중급유수송기 전력화 당시 1호기의 명칭을 고심하다 전 장병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했다. 그리고 설문조사와 심의를 거친 끝에 다수의 장병이 추천한 ‘시그너스(Cygnus·백조자리)’로 최종 결정했다.
3D, Panoramic Camera 5 Boom을 사용한 공중급유 시 급유통제사에게 3D 또는 파노라마 영상을 시현시켜주는 장비.
No.2 Movable Flap Track Fairing Flap 사용을 위한 Rotary Actuator 보호 덮개.
Formation Light 공중급유시 사용하며, 피급유기에서 공중급유기의 위치를 참조하기 위한 조명.
Inspection Camera Pod를 사용한 공중급유 시 급유통제사에게 영상을 시현 시켜주는 장비.
PDL(Pilot Director Lights) Light 피급유기에 급유 시 항공기 자세 및 위치 유지를 보조하기 위한 조명.
카고 도어 항공기 내에 화물 및 승객 수하물 등을 탑재하는 공간.
엔진 항공기 추력을 발생 시키는 구성품으로, 2개의 롤스로이스 Trent-700이 장착돼 있으며, 각 엔진 당 추력은 71100lbs이다.
항공기 내 승객 좌석 인원공수 임무 등 승객 탑승 공간으로 총 301석으로 구성.
Mission Console 공중급유시 급유통제사가 Boom 또는 Pod 조작하는 공간.
Fuel Jettison Nozzle 항공기 비상 상황 발생 또는 필요시, 연료를 밖으로 배출해 항공기 착륙에 필요한 무게를 맞추기 위한 장치.
Inner Wing Illuminaton Light 야간 또는 필요 시 날개 안쪽으로 비춰주는 조명.
Advanced Refueling Boom System 급유기가 피급유기에게 연료를 이송하는 장비.
공중급유로 중간 기지 착륙없이 목적지까지 ‘F-15K’ 10여 대 ‘KF-16’ 20여 대 급유 가능 독도·이어도 등 임무시간 1회 급유 시 1시간 증가 원거리 작전능력 끌어올려 KADIZ 전역 작전
공군의 다목적공중급유수송기, KC-330 시그너스. ‘하늘의 주유소’라고도 불린다. 이 항공기는 우리 공군의 숙원 사업이었다. 공군은 1993년 최초로 공중급유기 도입을 위한 소요제기를 했다. 2015년 6월 국방부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에어버스사(社)의 A330 MRTT(MultiRole-Tanker/Transporter)로 기종이 결정됐으며, 1개월 후 계약이 체결됐다.
공군은 2018년 9월 5공중기동비행단 예하에 261공중급유비행대대(261대대)를 창설해 공중급유기 운용의 터를 닦았다. 이 같은 노력으로 1호기(KC-330)가 국내에 도입됐으며 현재는 도입하기로 했던 기체들 모두 전력화가 완료돼 맡은 바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하고 있다. 최초 소요제기 후 26년 만에 전력화된 공중급유기는 우리 공군의 전투력과 작전임무 반경을 획기적으로 늘려주고 있다.
KC-330 시그너스 전력화에 따라 일어난 공중작전의 가장 획기적인 변화는 전투기 행동반경의 확대와 체공시간 및 무장탑재 능력의 증가다. 이를 바탕으로 군사작전 전(全) 영역에 걸쳐 항공우주력의 작전 범위를 한층 확대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내륙에서 이륙한 전투기가 독도·이어도 등에서 원거리 공중작전을 펼칠 때 연료·무장 문제로 임무 수행 능력이 제한될 수 있다. 공중급유는 이러한 장애물을 한 번에 뛰어넘게 해주고 전투기가 해외에 전개할 때도 공중급유를 통해 중간 기지 착륙 없이 한 번에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게 해준다.
공중급유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최소 승무원은 조종사 2명과 급유통제사 2명, 기상적재사(Loadmaster) 2명이다. 공수 및 해외 재난구호 등 임무 형태에 따라 승무원 구성은 변경이 가능하다. 조종사는 좌·우측 조종석에 2명이 탑승해 승무원을 지휘·감독하고, 항공기 조종 업무를 수행한다. 급유통제사는 급유장비와 시스템을 운영하고, 급유받는 항공기를 통제한다.
KC-330 시그너스는 전폭 60.3m, 전장 58.8m, 전고 17.4m에 최고 속도는 마하 0.86이다. 최대 순항고도는 1만2600m, 최장 항속거리는 1만5320㎞, 최대 이륙중량은 51만6000파운드(약 23만3000㎏), 최대 연료탑재량은 24만5443파운드(약 11만1550㎏)다. 현재 우리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는 최대 10여 대, KF-16은 최대 20여 대에 급유할 수 있다. 300여 명의 인원과 47톤의 화물도 운송할 수 있다.
특히 KC-330 시그너스의 전력화는 원거리 작전능력을 대폭 끌어올려 독도·이어도를 포함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전역에서 효과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KC-330 시그너스가 없을 때 F-15K 전투기는 독도에서 약 30분, 이어도에서 약 20분, KF-16 전투기는 독도에서 약 10분, 이어도에서 약 5분 동안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전투기에 1회 공중급유를 하면 작전임무 가능 시간이 약 1시간씩 증가한다. 이를 바탕으로 KADIZ에 사전 통보 없이 무단 진입한 외국군 항공기는 물론 각종 우발상황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최근 들어 KC-330 시그너스는 많은 활약을 펼쳤다. 해외 파병부대 교대 임무, 6·25전쟁 국군전사자 유해 봉환 임무, 일제강점기 ‘청산리·봉오동전투’ 승리의 주역인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 임무, 호주 요소수 긴급 수송 임무, 아프가니스탄 현지인 협력자 수송 미라클 작전 등 다양한 작전과 임무에 투입돼 항상 기대 이상의 임무 목표를 달성했다.
공군은 다목적공중급유수송기 전력화 당시 1호기의 명칭을 고심하다 전 장병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했다. 그리고 설문조사와 심의를 거친 끝에 다수의 장병이 추천한 ‘시그너스(Cygnus·백조자리)’로 최종 결정했다.
3D, Panoramic Camera 5 Boom을 사용한 공중급유 시 급유통제사에게 3D 또는 파노라마 영상을 시현시켜주는 장비.
No.2 Movable Flap Track Fairing Flap 사용을 위한 Rotary Actuator 보호 덮개.
Formation Light 공중급유시 사용하며, 피급유기에서 공중급유기의 위치를 참조하기 위한 조명.
Inspection Camera Pod를 사용한 공중급유 시 급유통제사에게 영상을 시현 시켜주는 장비.
PDL(Pilot Director Lights) Light 피급유기에 급유 시 항공기 자세 및 위치 유지를 보조하기 위한 조명.
카고 도어 항공기 내에 화물 및 승객 수하물 등을 탑재하는 공간.
엔진 항공기 추력을 발생 시키는 구성품으로, 2개의 롤스로이스 Trent-700이 장착돼 있으며, 각 엔진 당 추력은 71100lbs이다.
항공기 내 승객 좌석 인원공수 임무 등 승객 탑승 공간으로 총 301석으로 구성.
Mission Console 공중급유시 급유통제사가 Boom 또는 Pod 조작하는 공간.
Fuel Jettison Nozzle 항공기 비상 상황 발생 또는 필요시, 연료를 밖으로 배출해 항공기 착륙에 필요한 무게를 맞추기 위한 장치.
Inner Wing Illuminaton Light 야간 또는 필요 시 날개 안쪽으로 비춰주는 조명.
Advanced Refueling Boom System 급유기가 피급유기에게 연료를 이송하는 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