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세계 3대 강국’ 목표…5년간 16조 원 투입

입력 2025. 06. 18   16:59
업데이트 2025. 06. 18   17:06
0 댓글

GPU 5만 개 확보 데이터센터 건설
전국민 사용 서비스 개발에도 최선
민·관 100조 원 투자 시대 ‘청사진’

정부가 인공지능(AI) 강국 도약을 위해 5년 동안 16조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AI 발전을 통한 기술주도 성장에 방점이 찍힌 업무계획을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했다. 과기정통부는 또 통신비 지원 등을 통해 보편적 통신서비스를 기본권화하는 국가 디지털 인프라 및 이용자 편익 고도화에도 5년간 3조 원 이상을 쓸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업무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AI 분야에 5년 동안 총 16조761억7000만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특히 ‘AI 세계 3대 강국 진입을 위한 기반 조성’을 목표로 관련 분야에 12조3000억 원을 사용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 개를 확보하고 AI 데이터센터(DC)를 건설해 ‘AI 고속도로’를 구축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공공과 민간이 보유한 학습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계해 활용하도록 하는 AI데이터 집적 클러스터, 범용인공지능(AGI) 등 연구개발(R&D) 투자 강화, AI특구 등 국가AI혁신거점 육성, AI 분야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과 펀드 조성 등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통해 2030년까지 AI 3대 강국의 위상을 확립하고, 정부와 민간의 AI 투자 100조 원 시대를 달성할 것”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AI 기본사회’ 구축을 위한 예산은 1조245억 원을 배정했다. 정부는 국가대표 AI 모델 개발을 지원해 모든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출시하는 데 힘을 기울일 방침이다. 이를 위해 내년 1월 시행되는 ‘디지털 포용법’의 하위법령 제정에 속도를 붙일 예정이다.

AI 혁신을 이끌 국가인재 양성에도 1조2800억 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최고 수준의 외국 AI 인재를 전략적으로 유치하고, 역량 있는 신진 연구자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구상이다. 기업과 대학이 협력하는 AI 전환(AX) 대학원도 2030년까지 15곳 설립할 예정이다.

이 밖에 ‘글로벌 AI-이니셔티브 전략’ 추진에 6072억 원, ‘광주 AI 국가 시범도시’ 조성 추진에 6000억 원, AI 기본법 하위법령 마련 및 AI 특화 시범도시 조성 추진에 1636억 원, 안전한 디지털 사회 구현에 1008억 원을 책정했다.

과기정통부는 국가 디지털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이용자 편익을 높이기 위해 5년 동안 3조888억2000만 원을 쓴다는 계획도 보고했다. 특히 ‘디지털 안심 사회’ 구현을 위해 2조3430억 원을 활용, 정보보호제도 개선과 AI·양자 보안기술 국산화, 피싱·스미싱 같은 디지털 역기능 해소 등을 진행하기로 했다. 여기에 더해 국민 통신비 부담 완화를 위해 통신비를 세액 공제 대상에 추가하는 소득세법 개정도 연내 추진하기로 했다. 맹수열 기자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댓글

오늘의 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