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모를 5800여 위 호국영웅의 고귀한 정신 기억하겠습니다”

입력 2024. 06. 24   17:13
업데이트 2024. 06. 24   17:21
0 댓글

국립서울현충원에 ‘무명용사 봉안관’
현충탑 지하에 있던 유해 옮겨 봉안식
신원식 장관 “모두에게 열린 추모 공간”

 

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24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무명용사 봉안관 준공 및 유해 봉안식에서 호국영웅의 헌신을 기리며 헌화하고 있다. 김병문 기자
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24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무명용사 봉안관 준공 및 유해 봉안식에서 호국영웅의 헌신을 기리며 헌화하고 있다. 김병문 기자



국립서울현충원(서울현충원)은 24일 ‘그리움, 감사, 기억’이라는 주제로 무명용사 봉안관 준공 및 유해 봉안식을 거행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김명수 합참의장, 채일 국방홍보원장 등 50여 명이 참석한 행사는 무명용사에 대한 경례, 봉안관 건립 경과보고, 헌화 및 분향, 묵념 순으로 진행됐다.

조국과 가족을 향한 무명용사들의 그리움, 희생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우리가 영원히 기억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무명용사란 유해는 찾았으나 신원을 확인할 수 없는 군인을 말한다. 서울현충원에는 이름을 알 수 없는 5800여 위의 호국영웅이 잠들어 있다.

서울현충원은 봉안관 준공으로 그동안 현충탑 지하에 있던 무명용사들을 새롭게 건립된 봉안관으로 옮겼다.

봉안관은 연면적 349.93㎡(105평) 규모다. 주변에는 메모리얼 숲, 광장, 산책길 등의 추모공원을 함께 조성해 추모객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였다.

봉안관 내부 시설은 유해의 영구적인 보존을 위해 개방은 제한됐지만, 빛이 들어올 수 있도록 천장을 투명한 유리로 설계했다.

행사를 주관한 신 장관은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치신 분들의 고귀한 나라 사랑 정신을 깊이 간직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무명용사 봉안관이 국민 모두에게 열린 추모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아미 기자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댓글

오늘의 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