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의 날 - 뜨거움 가득했던 서울공항
장병·군 가족·예비역·국민
1만여 명 어우러진 ‘축하의 장’
태권도 시범·장비부대 분열 박수갈채
|
건군 75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가 26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거행됐다. ‘강한 국군, 튼튼한 안보, 힘에 의한 평화’를 주제로 진행된 행사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강력한 힘으로 지키겠다는 우리 국군의 위용을 과시하는 자리였다. 또 적에게는 강력한 경고를 보내고, 국제사회에는 평화를 지지하는 의지를 천명하는 시간이었다. 글=서현우·배지열/사진=이경원·김병문 기자
국군의 날 기념행사는 윤석열 대통령 내외가 입장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행사에는 장병, 군 가족, 예비역, 보훈 단체, 참관 신청 국민 등 1만여 명이 함께했고, 건군 75주년과 한미동맹·정전협정 70주년에 부합한 초청 인사들이 눈에 띄었다.
특히 6·25전쟁에 참전했던 19개국의 참전용사와 그 후손들이 초대돼 자리를 빛냈다.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당시 미 측 대표인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의 후손과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를 포함한 각국 대사들도 참석해 한미동맹·정전협정 70주년의 의미를 더했다.
행사에서 가장 눈길을 끈 것은 강한 국군의 위용을 선보인 고난도 시범과 최첨단 장비의 분열이었다. 육·해·공군 및 해병대 장병으로 구성된 합동군 750명의 태권도 시범은 우리 군의 강인함을 오롯이 드러냈다. 이들은 두 주먹을 불끈 쥐고 기합 소리를 “악” 내지르며 전투 품새, 겨루기, 일반 격파, 도미노식 위력격파 등을 쉼 없이 펼쳐냈다.
이어 분열이 시작돼 부대·장병이 행사장에 진입하자 관객석의 참석자들은 모두 일어서서 이들의 행진을 박수로 맞았다. 태극기를 앞세운 국군군기단을 선두로 육·해·공군·해병대 장병들과 각 군 사관생도들이 당찬 발걸음으로 행사장에 전개하며 국군 통수권자에게 경례했다. 과학화 보병으로 진화 중인 보병대대 장병들은 워리어플랫폼을 착용하고 등장해 과학기술 강군의 진면목을 국민에게 선보였다.
|
장비부대 분열에서 행사는 절정을 이뤘다. 다영역 동시 통합전투가 가능한 우리 국군의 미래전 핵심전력이 모습을 드러내자 참석자들은 다시 한번 큰 환호를 보냈다.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구성하는 무인 수상정·항공기·잠수정을 필두로 한국형 무인정찰기, 소형 드론제대, 아미타이거 제대가 뒤를 이었다. 이어 우리나라 방산 수출의 큰축인 K2 전차와 K9 자주포 등을 포함한 기계화·포병·방호·상륙제대들이 그 위용을 뽐냈다.
그중에는 킬체인·한국형 미사일방어(KAMD)·대량응징보복(KMPR)의 3축체계 장비들도 포함됐다. 탄도탄 요격능력을 갖춘 패트리어트·천궁과 함께 현재 개발 중인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L-SAM)의 실물도 등장해 눈길을 사로잡았다.
다만 이날 전국적으로 내린 비로 인해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와 아파치 헬기 편대의 고난도 기동은 취소됐다.
회전익 9종 54대와 고정익 11종 76대의 공중분열도 이뤄지지 못했다. 당초 공중분열에서 회전익은 국산 차세대 소형무장헬기(LAH)가 선두를 맡아 AH-64H 아파치, CH-47 시누크, UH-60 블랙호크, KUH-1 수리온, MUH 마린온, 해군 링스(LYNX), 공군 HH-60 등이 하늘을 가로지를 예정이었다. 그중 수리온 헬기 22대는 건군 75주년을 기념하는 숫자 ‘75’를 그리며 행사장 상공을 통과할 계획이었다.
|
또 고정익은 최초의 한국형 전투기(KF-21)를 필두로 E-737, P-3C, KC-330, F-35A, F-15K, KF-16, FA-50, F-4, F-5 등 항공전력이 총출동하고, 미 F-16, F-35B 전투기와 A-10 공격기도 연합 편대비행을 이루며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과시할 예정이었다.
한편, 행사에서는 결전 태세 확립으로 국가수호의 큰 역할을 한 육군22보병사단, 해군작전사령부, 공군11전투비행단, 주한미특수전사령부 등 4개 부대가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국가안전 보장에 일조한 류승민(소장) 육군51사단장, 최우용 공군중령, 양영완 해군원사는 보국 훈·포장을, 권인태 해병대령은 대통령 표창의 영예를 안았다.
식전행사에서는 국군 장병들에 대한 축하·응원 영상 메시지도 전해졌다. 부모, 형제, 어린이, 군 가족, 사관후보생 등 일반 국민은 물론 소프라노 조수미, 양궁 국가대표 김제덕, 배드민턴 국가대표 안세영, 한기호 국회 국방위원장 등 사회 유명·저명인사들도 장병들에게 진심 어린 고마움을 표했다.
통합합창단과 국군교향악단의 합동 무대도 인상적이었다. 건군 75주년을 기념해 각 군 장병, 생도, 카투사, 예비역·대학생 각 75명으로 구성된 통합합창단은 국군교향악단의 선율에 맞춰 민·군이 어우러지는 축하의 장을 만들었다. 특히 한미가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함께 싸웠고 그 우정은 변치 않을 것이라는 노래 ‘We go together’를 합창해 한미동맹의 의미를 더했다.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