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버튼 메뉴버튼

국방일보

검색

어떤 기사를 찾으시나요?

검색창 닫기
  • 홈
  • 국방
  • 기획
  • 국내·외
  • 포토라운지
  • 오피니언
  • 엔터·스포츠
  • 라이브러리
  • 무기백과
  • 국방저널
국방일보
메뉴 닫기

국군과 국방의 참소식을 알리는 참신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회원가입 로그인
  • 국방
  • 기획
  • 국내·외
  • 포토라운지
  • 오피니언
  • 엔터·스포츠
  • 라이브러리
  • 무기백과
  • 국방저널
PDF PC 버전 보기
  • [교수실에서_문현영 소령] 인문학과 미래전

    문현영육군사관학교 영어과 교수·소령전쟁의 역사는 과학기술의 역사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역사적으로 과학기술을 선도한 군대는 그렇지 못한 군대를 이겼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 군도 사이버 전쟁과 로봇 전쟁 등 미래전을 대비하고 있다.그렇다면 미래전을 대비한다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모든 군인이 과학 기술자가 돼야 한다는 것일까? 앞으로 양성하는 모든 고급인력을 과학기술 분야에 집중하는 것일까? ...
    2023.03.20 16:09
  • [교수실에서_김희곤 교수] 위기는 예고 없이 찾아온다

    김희곤 공주대학교 안보학 교수세렌디피티(serendipity)의 핵심은 ‘준비된 우연’이며 ‘우연을 붙잡아 행운으로 바꾸는 힘’이다. 성공은 우연한 기회와 노력이 상호작용한 결과다. 따라서 뜻밖의 행운은 그냥 얻어질 수 없고, 오직 준비된 자의 몫으로 허락된 것이다. 세렌디피티는 완전한 우연으로부터 중대한 발견이나 발명이 이뤄지는 것을 말한다. ‘행복한 사건’ 또는 ‘유쾌한 놀라...
    2023.03.13 15:43
  • [교수실에서_박영진 대위]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박영진 육군3사관학교 군사사학교수대위이제 갓 두 돌이 된 아들은 아빠가 운전하는 동안 태블릿으로 키즈채널을 보다 광고가 뜨면 작은 손가락으로 자연스레 화면 하단의 ‘광고 건너뛰기’를 누른다. 때로는 스마트폰을 작은 두 손에 직접 들고 와 가리키며 “이거, 이거”를 반복한다. 자신이 즐겨보는 키즈채널을 빨리 틀어달라는 뜻이다. 아직 아기지만 디지털 콘텐츠에 벌써 익숙해진 탓이다. 이와 별개...
    2023.03.06 16:58
  • [교수실에서_김성호 소령] 비행착각 시뮬레이터 시스템 자체 개발

    김성호공군사관학교시스템공학과 교수·소령비행착각(Spatial Disorientation·SD)은 비행 중 조종사가 지구 중력 방향에 대한 항공기 자세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공군 항공사고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0년 이후 비행착각으로 인한 항공사고는 20여 건에 달하며 모두 조종사 순직으로 귀결되었다. 비행착각은 인간의 생리적 특성에 따라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조종사들은 지속적인 훈련을 통...
    2023.02.28 16:58
  • [교수실에서_백현민 소령] 기후변화 위기 대응 실천 나설 때

    백현민 소령. 해군사관학교 함정기관학 교수한 포털사이트 발표에 따르면, 2022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단어는 ‘기후변화’였다. 이는 국민의 관심이 점차 기후변화 위기에 집중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세계적으로 진행 중인 기후변화 위기는 그 규모와 심각성 측면에서 초국가적 위협이자 지금껏 마주해보지 못한 비전통 위협에 해당한다. 해수면 상승, 국지적인 기상이변에 의한 피해, 기후변화...
    2023.02.20 15:09
  • [교수실에서_김희곤 공주대 교수] 일상의 삶, 이유 없이 행복하라

    김희곤 공주대학교 교수1월 끝자락에 여행을 떠났다. 눈부신 햇살 가득한 프로방스의 문화와 예술의 정취를 느끼고픈 지적 호기심, 묘한 설렘 그리고 새로움을 갈구하는 마음의 허기가 나를 이끈 이유다. 그렇게 나의 프로방스 여행은 시작됐다.인천공항에서 파리 샤를 드골공항까지 14시간 15분(거리 8929㎞)을 비행하며 머릿속을 가득 채운 문구는 ‘#왜 우리는 삶의 재미를 목표로 삼지 않을까?’와 ‘#삶이 꼭,...
    2023.02.13 16:29
  • [교수실에서_강명숙 국군간호사관학교 교수]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효과적인 디브리핑

    강명숙국군간호사관학교 간호학 교수교수 계획을 설계하는 2월 이즈음이면 초심으로 돌아가 좋은 수업을 해 보고 싶은 마음이 더욱 커진다. 교육은 학생과 교수가 함께하는 수업 활동을 통해 이뤄진다. 이러한 수업 활동이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제공되는지에 따라 교육의 의미와 학습 성과는 달라진다. 필자는 간호학교수로서 교과목 학습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고 있다. 간호학에서 시뮬레...
    2023.02.06 17:05
  • [교수실에서_이강준 소령] 효율적인 군사영어 학습법 3가지

    이강준 소령. 육군3사관학교 영어학과 교수많은 사람이 새해가 되면 결심하고 도전하는 것들이 일반적으로 건강, 운동, 그리고 공부다. 공부는 자격증 분야와 더불어 영어 등 어학공부 분야에 열을 올리는 사람들도 꽤 많다. 최근 군에서도 한미연합방위태세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실전적인 연합훈련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연합훈련 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군사 영어의 관심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군에서 사용하는 군사 영어...
    2023.01.30 15:30
  • [교수실에서_김준배 소령] 근대 일본의 해군력 강화 노력과 충무공 이순신

    김준배 소령. 해군사관학교 일본어교수『언덕 위의 구름』등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일본의 역사소설가 시바 료타로. 그는 자신의 수필에서 “일본 해군은 메이지 해군을 창설하고 자신감이 부족하던 무렵, 동양이 배출한 유일한 바다의 명장으로 이순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들은 연구를 통해 원래 적의 장수였던 이순신을 더 존경하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적지 않은 근대 일본의 해군 장교가 충무공...
    2023.01.09 15:43
  • [교수실에서_안남수 육군사관학교 교수] 갈등은 우리의 힘

    안남수 육군사관학교 기계·시스템공학교수대한민국의 많은 이들은 아직도 2022 카타르 월드컵이 우리에게 선물해준 감동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포르투갈을 이겼을 때는 놀라움을 느꼈고, 브라질에 졌을 때는 아쉬움을 공유했다. 사실 축구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월드컵이라는 이벤트는 예외다. 다만, 순간적으로 무언가 이상한 감정을 느꼈는데, 곧 잠이 들어버렸다. 다음날 그 이상한 감정의 원인이 무얼까 ...
    2023.01.02 16:33
  • 구독신청
  • 광고안내
  • 국방홍보원
  • 국방TV
  • 국방FM
COPYRIGHT (C) 2022 DEM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