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삼성전자·통신3사 손잡아
‘피싱으로 신고’ 버튼 통해 간편 제보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이용된 전화번호를 10분 이내로 차단하는 ‘긴급 차단 제도’가 24일부터 시행된다.
기존에는 2일 이상 소요되던 차단 시간을 대폭 줄인 것으로 경찰청, 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삼성전자가 민·관 경계를 허물고 협력한 결과다.
경찰청은 모든 피싱 전화·문자가 국내 3사 통신망을 이용한다는 점에 착안해 전화번호가 통신망에 접근하면 이를 초기 차단하는 방안을 고안했다고 23일 밝혔다.
차단 이후에는 범죄자가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미끼 문자를 보낼 수 없고, 수신자가 나중에 확인하고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어도 통화가 연결되지 않는다. 임시 차단된 번호는 추가 분석을 거쳐 완전히 이용 중지를 시킨다.
경찰청은 지난해 12월부터 삼성전자와 협력해 삼성 스마트폰에 ‘간편제보’ 기능을 구현했다. 이용자가 피싱 의심 문자를 길게 누르거나 통화 내역을 선택하면 ‘피싱으로 신고’ 버튼이 나오고, 이를 통해 별도 절차 없이 제보할 수 있다.
통화녹음 기능을 활성화한 경우 피싱범과의 음성통화 내용도 간편하게 제보해 범죄 수사에 결정적 증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삼성전자 휴대전화가 아닌 경우에도 누구나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단 누리집에 접속해 범죄 의심 문자나 전화를 제보할 수 있다.
통합대응단이 제보받은 번호를 분석해 차단을 요청하면, 통신사는 해당 번호를 7일간 즉시 차단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