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日에 전방위 보복…‘속수무책’ 日, 장기전 대비

입력 2025. 11. 20   17:02
업데이트 2025. 11. 20   17:52
0 댓글

여행 자제·수산물 수입 중단 공세 강화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 철회 않을 땐
희토류 수출 규제 등 추가 카드 가능성
“1년 넘는 지구전 될 수도…냉정함 유지”

중국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을 철회하라며 보복 공세를 한층 강화하고 있지만, 일본은 마땅한 반격 카드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아사히신문이 20일 보도했다.

중국은 다카이치 총리 발언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지난 14일 이후 일본 여행·유학 자제령, 영화 개봉 연기, 일본산 수산물 수입 재중단 등의 보복 조치를 속속 시행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중국이 지금까지 꺼낸 보복 조치에 대해 “일본에 타격을 주면서도 자국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카드를 주도면밀하게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예컨대 일본산 수산물의 경우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 이후 2년 넘게 수입하지 않다가 최근 소량의 교역을 허용한 상황이어서 다시 빗장을 걸어도 중국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마이니치는 중국이 비판 대상을 다카이치 총리 개인에 맞추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여기에는 일본의 중국 방문·투자를 막지 않겠다는 의도가 숨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 정부는 전날도 일본산 수산물 수입 중단과 관련해 “다카이치 총리가 대만 등 중대 문제에서 잘못된 발언을 했다”고 비판했다.

다만 중국이 문제시하는 발언이 철회되지 않으면 일본에 대한 보복 조치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일본 외무성 간부는 요미우리신문에 “(중국이) 앞으로도 단계적으로 대항 조치를 취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일본 언론은 통관 검사와 희토류 수출 규제 강화, 무비자 조치 중단 등이 중국의 추가 보복 카드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희토류 수출 규제는 일본 제조업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어서 일본도 크게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사태가 악화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중국을 불필요하게 자극할 언행을 삼가면서 일부 보복 조치의 확대 해석도 경계하고 있다. 아울러 일본은 중국이 경제 보복 조치를 추가해도 이에 대응해 내놓을 선택지가 적은 만큼 냉정하게 사태를 주시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외무성 관계자는 “중국이 진심을 담는다면 이 정도에 그치지는 않을 것”이라며 “1년 정도의 지구전이 될 가능성이 있어 냉정함이 중요하다”고 마이니치에 말했다.

연합뉴스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댓글

오늘의 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