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트럼프 ‘가자지구 평화구상’ 지지

입력 2025. 11. 18   17:31
업데이트 2025. 11. 18   17:32
0 댓글

15개국 중 13개국 찬성…러·중 기권
과도 통치기구 평화위원회 설립 승인
임시 국제안정화군 배치도 허용
팔레스타인 국가 지위 인정할 수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있다. AFP·연합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있다. AFP·연합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1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월 말 발표한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가결했다.

안보리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팔레스타인 문제를 의제로 공식회의를 열어 15개 이사국 중 비상임 이사국인 한국을 포함한 13개국 찬성으로 가자지구 평화구상 지지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상임이사국 중 러시아와 중국은 기권했다. 러시아는 미국안과 별개로 별도의 가자지구 결의안을 추진해 이번 결의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거론됐지만, 아랍 지역 및 무슬림 국가의 지지를 고려해 기권을 표했다.

가결된 가자지구 평화구상 지지 결의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9월 29일 제시한 ‘가자 분쟁 종식을 위한 포괄적 계획(이하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지지하고, 분쟁 당사자들이 휴전 유지를 포함해 평화구상을 전면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안보리는 이번 결의에서 과도 통치기구인 평화위원회(BoP)의 설립을 승인하고, 유엔 회원국들이 가자지구 내 ‘임시 국제안정화군(ISF)’을 배치할 수 있도록 했다.

평화위원회는 가자지구 평화구상에서 제시된 가자지구 과도 통치기구로, 과거 제2차 세계대전 후 한국을 포함한 식민 지배 국가들을 상대로 이뤄진 유엔의 신탁통치 기구와 유사하다. 미국은 앞서 평화위 수장을 트럼프 대통령이 맡는다고 밝힌 바 있다.

안보리 결의는 평화위원회에 행정관리 권한을 부여하고, 가자지구 재건 및 경제회복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가자지구 내 공공 서비스 및 인도적 구호의 조정 및 지원 업무도 맡게 된다.

이번 결의는 향후 팔레스타인의 국가 지위 인정 가능성도 언급했다.

가자 평화구상 결의는 이와 관련,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의 개혁 프로그램이 충실히 시행되고 가자지구 재건이 진전된 후, 팔레스타인의 자결권과 국가 지위(statehood)에 도달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경로를 위한 조건이 마침내 갖춰질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미국은 평화롭고 번영하는 공존을 위한 정치적 전망에 합의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대화를 수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댓글

오늘의 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