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13일 육·해·공군 소장 20명을 중장으로 진급시키는 첫 3성급 인사를 단행했다.
이번에 소장에서 중장으로 진급한 장성은 육군 14명, 해군 3명, 공군 3명 등 총 20명이다. 최근 10년 내 중장 진급 인사 폭 가운데 최대 규모다. 국방부는 “12·3 비상계엄 사태를 극복하고 국민의 군대를 재건하며, 인사의 다양성 확보와 군의 안정화를 통한 안보 공백 방지에 중점을 뒀다”고 전했다.
육군에선 한기성·정유수·이상렬·이일용·최성진·이임수 소장이 중장으로 진급해 군단장으로 보직될 예정이다. 박성제·어창준·권혁동·강관범·박춘식 육군소장은 중장으로 진급해 각각 육군특수전사령관·수도방위사령관·미사일전략사령관·교육사령관·군수사령관에 보직된다. 또 최장식·강현우·김종묵 육군소장은 진급과 함께 육군참모차장·합동참모본부(합참) 작전본부장과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으로 보직될 예정이다.
해군에선 곽광섭 소장이 해군참모차장, 박규백 소장이 해군사관학교장, 강동구 소장이 합참 전략기획본부장으로 진급 및 보직될 예정이다. 공군은 권영민 소장이 공군교육사령관, 김준호 소장이 국방정보본부장, 구상모 소장이 합참 군사지원본부장으로 진급과 함께 보직된다.
국방부는 이날 중장 진급 및 보직 인사를 발표하면서 “국민주권정부의 국방 정책 기조를 충실히 구현할 수 있는 사명감과 책임감, 전문성을 갖춘 우수 인재를 선발하는 데 중점을 뒀으며,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불안정한 국제 안보정세 속에서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한반도 방위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과 뛰어난 작전지휘 능력을 겸비한 군내 신망이 두터운 장군을 발탁했다”고 밝혔다.
이번 중장급 인사 특징은 비(非)사관학교 출신 인사들의 진급 비율을 대폭 늘린 데 있다. 국방부는 “사관학교 출신 중심의 인사 편중 현상을 완화했다”며 “최근 5년간 육사와 비육사 비율이 3.2 대 1이었으나 올해는 1.8 대 1의 비율을 보였다”고 부연했다. 이어 “학사 출신인 박성제 중장은 비육사 출신으로는 세 번째로 특수전사령관으로 보직됐고 한기성 중장은 학군장교 출신으로는 최초로 1군단장에 보직돼 수도권 방어의 핵심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인사·군수·정책·전력 등 작전 외 특기 인물들이 대거 진급하기도 했다. 최근 5년간 전체 육군 중장 진급자 중 작전 특기는 70%에 달했으나, 올해는 40% 수준에 그쳤다. 기존 작전특기 위주에서 벗어나 다양한 특기에서 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인원을 선발해 인사의 다양성을 확보했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김해령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