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관·군 합동훈련 점검
위험 지역 시찰…1차 책임 명확히 지시
예산·사업 투명하고 효율적 운영 강조
|
이재명 대통령이 6일 산불진화 관·군 합동훈련을 점검하며 ‘산불 진압 초기 대응체계 강화’를 거듭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관·군의 산불 진화 장비와 대응체계를 점검한 뒤 동해안 산불 위험 지역을 시찰했다고 김남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관계기관에 가용 가능한 자원을 총동원하는 등 강력한 산불 진압 초기 대응체계를 마련하라고 지시해 왔다. 이번 방문은 이 같은 대통령 지시의 이행 상황을 직접 점검하기 위해 실시된 것이라고 김 대변인은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먼저 강원 원주시에 있는 산림청 산림항공본부를 찾아 산림청과 군(軍)의 산불 진화 헬기, 드론, 차량 등 핵심 장비를 점검했다.
현장을 둘러본 이 대통령은 “산불이 발생했을 때 초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장의 1차 책임을 명확히 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산불 대응 관련 예산과 사업은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라”면서 “산불 대응에 있어서는 ‘아깝다’고 생각하지 말고 초기부터 전력으로 대응하라”고 당부했다.
|
이후 이 대통령은 산림청과 국방부의 ‘산불 진화 합동훈련’을 참관했다. 훈련은 헬기 레펠을 이용한 공중 진화, 드론을 활용한 정밀 진화, 헬기 물 투하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이 대통령은 훈련에 참여한 진화대원들에게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가의 제1 책무”라며 무엇보다 우선시하도록 강조했다. 아울러 “지나친 것이 부족한 것보다 100배 낫다” “과잉이다 싶을 만큼 조기 대응하라” “일단 발견하면 너무 심하다 싶을 정도로 대응하라”며 철저한 초기 전력 대응을 거듭 주문했다.
이날 대통령은 산림청의 산불 진화 헬기에 탑승해 동해안 일대도 시찰했다. 시찰은 강릉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졌으며,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이 과거 산불 피해 지역 등을 보고했다.
“울산화력 가용자원 총동원 인명 구조”
한편 이 대통령은 같은 날 발생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에 대해 보고받고 “사고 수습, 특히 인명 구조에 장비, 인력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라”고 지시했다고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이 언론 공지를 통해 밝혔다.
이어 김 대변인은 “또한 이 대통령은 구조 인력의 2차 안전사고 방지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덧붙였다.
조아미 기자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