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군 최초 군 주도 신속시범사업 착수
민간 신기술 활용, 5G·LTE 통신 운용
“후방지역 작전수행능력 향상 기대”
육군이 후방지역에 고속 데이터 통신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군(軍) 주도 신속시범사업에 나선다. 방위사업청(방사청)이 아닌 군이 신속시범사업을 이끄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육군은 5일 “후방지역 사단급 이하 전술통신체계 사업 착수회의를 전날 LIG넥스원 대전연구소에서 개최했다”며 “민간의 신기술을 활용한 육군 주도 신속시범사업 추진의 첫발을 내디뎠다”고 밝혔다.
신속시범사업은 급속도로 발전하는 첨단기술을 신속하게 국방 분야에 적용하고, 장기간 소요되는 무기체계 획득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2021년 도입된 방위력개선사업의 한 종류다. 방위력개선사업은 줄곧 방사청이 수행해 오다가 최근 방위사업법이 개정되며 각군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육군이 LIG넥스원과 추진하는 후방지역 사단급 이하 전술통신체계 사업은 2작전사령부 사단급 이하 제대에 상용 이동통신망(5G·LTE) 기반 전술통신체계를 구축,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운용하도록 하는 것이 골자다.
2작전사령부는 작전지역이 광범위해 군 전술통신체계의 보완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또 지휘소 이동 및 기반망 단절 시 운용되는 후방지역 위성통신체계의 경우 전송 용량의 제약으로 정보소통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사업으로 전국에 설치된 수십만 개 기지국을 사단급 이하 제대 간 정보소통에 활용할 경우 넓은 작전지역의 지형적 제한사항을 극복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등 군사적·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육군은 기대하고 있다.
앞서 육군은 성공적인 신속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2023년 3월부터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에 태스크포스(TF)를 편성하고 규정을 제정하는 등 조직·제도·예산 등을 준비해 왔다.
오혁재(소장) 기획관리참모부장은 “육군 주도 1호 사업인 후방지역 사단급 이하 전술통신체계를 통해 후방지역의 작전수행능력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야전의 긴요한 전력을 신속히 전력화할 수 있는 군 주도 신속시범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원준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