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 업무보고
군 구조 최적화 등 13대 추진 전력 제시
주요 부대는 ‘아미타이거’로 개편 방침
‘민주주의와 헌법수호’ 장병 교육 강화
동원부대 전력은 상비사단 수준 보강
|
육군이 첨단과학기술 기반 유·무인복합전투체계를 구축하고 인력 구조를 최적화하는 등 ‘강한 육군, 신뢰받는 육군’을 구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육군은 지난 24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에서 13가지 육군의 미래 모습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추진 전력을 제시했다.
주요 발전 방향으로 △첨단과학기술 기반 유·무인복합전투체계 구축 △미래 육군 군 구조 최적화 △아미타이거(Army TIGER) 완전성 제고 △첨단기술 기반의 진화적 전력 증강 △소버린 인공지능(AI) 구축을 통한 정예육군 구현 △장병 정신적 대비태세 확립 △예비전력 정예화 △작전·전쟁지속능력 강화 △과학적 방법이 적용된 교육훈련 △창끝부대 여건 개선 △사람 중심의 육군문화 정착, 처우 개선 △예방 및 현장 중심의 안전 문화 정착 △글로벌 국방협력 네트워크 강화 등을 소개했다.
이날 육군은 전투수행방법(How to Fight) 기반 AI·드론·로봇 정책을 수립·발전시키고 있으며 2027년까지 대대급 시범부대를 선정해 시험 적용하고, 2040년까지 AI 기반의 지휘통제체계와 드론·로봇 무인체계가 통합된 유·무인복합전투체계를 완성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부대·전력·인력 구조도 전면 설계·개편한다. 먼저 ‘멀리 보고 즉시 타격’하는 제대별 드론부대를 신편할 예정이다. 또 예비전력군무원(가칭)·상근예비군(장기)을 확대하는 등 현역·군무원·민간자원·상비예비군 등을 동원한 ‘총체전력’ 개념의 병력구조를 적용한다.
또 2035년까지 주요 부대를 기동화·네트워크화·지능화한 아미타이거로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창끝부대 구성원들의 활동 공간도 획기적으로 개선·현대화하고 여단급 규모로 통합된 ‘미래형 주둔지’를 건설한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아울러 육군은 2027년까지 일반전초(GOP) 과학화경계시스템 성능을 개량해 감시능력을 보강하고, 2030년까지 AI통합관제플랫폼 전력화로 AI 기반 유·무인복합경계작전체계를 구축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대대급 이하 부대에는 초소형 자폭드론, 소형대장갑자폭드론 등을 전력화하는 등 드론·대드론전력을 보강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적 장사정포를 정밀타격하는 ‘한국형 전술지대지유도무기(KTSSM-II)’를 비롯한 한국형 미사일 성능을 키우는 등 한국형 3축 체계의 육군 능력도 보강하고 있다고 육군은 부연했다.
정부의 ‘AI 3대 강국 도약’ 비전에 발맞춰, AI를 기반으로 군 전반의 혁신을 이끌 ‘소버린 AI 구축’도 준비 중이다. 관련 조직을 확대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등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다고 육군은 강조했다.
장병들에게 민주주의와 헌법수호 교육을 시행해 정신적 대비태세를 확립하는 노력도 계속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AI 정신전력 평가체계를 시범 적용하고 있다고 육군은 덧붙였다.
예비전력 정예화 계획도 내놨다. 인구절벽 시대에도 강한 전투력을 갖추고자 동원부대 전력을 상비사단 수준으로 보강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예비군기동대에 워리어플랫폼 5종을 시험 적용 중이며, 작전용 드론을 확보했다. 이와 함께 상비예비군 제도를 확대하고, 여단 단위로 첨단 과학화 예비군훈련장을 구축 중이다.
장병 처우 개선을 위한 노력 중 하나로 병 주도형 자율 병영생활관을 시범 운영 중이다.
김규하 육군참모총장은 이날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장성으로서 군을 동원해 대한민국을 위태롭게 한 내란 행위에 맞서지 못했다”면서 사과했다. 이어 “국민께 큰 실망과 깊은 상처를 안겨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 “육군 모두가 ‘내란 군’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 총장은 “전 구성원들과 함께 집단지성을 발휘해 과감한 혁신과 속도감 있는 변화로 육군의 난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장군단이 먼저 솔선수범하면서 혁신을 견인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수연 기자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