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전쟁의 전통무기는 칼과 창, 활이었다. 전쟁의 승패는 압도적 병력과 무기에 의해 결정지어졌다. 병사들의 전투력과 기동력은 빼고서다. 재래무기의 발전엔 한계가 있었다. 고작 개발된 게 반자동 기계식 발사 활이다. 그 외 공성전에 투입됐던 돌을 발사하도록 만든 투석기가 있었다.
원거리 공격과 살상 파괴력의 필요성에 의해 화포가 개발됐다. 화포의 개발은 화약 제조가 출발점이다. 최초 개발국은 중국이다. 나폴레옹 시대에 이르러 기동성을 더해 바퀴까지 달린 야포가 만들어진다. 그 시절 유럽 전장을 석권했다.
우리는 1377년 고려시대 최무선에 의해 원나라와 아라비아에서 전래한 화약제조법을 알아냈다. 중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 제조기술이다. 국산화와 체계화를 이룬 우리나라 방산의 최초 기록이다. 방산 650년 역사의 첫 출발점이다.
화약과 화약무기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국가기관인 화통도감도 창설했다. 요즘 방위사업청의 전신이다. 화통도감에선 대장군포, 이장군포, 삼장군포 같은 화포와 질려포(포탄), 촉천화(로켓형 화기) 등도 제작했다.
최무선은 당시 끊임없이 침입을 일삼던 왜구를 격퇴했다. 대표적 전투가 진포(금강하구) 해전이다. 왜선 500여 척 대부분을 격침했다. 그는 고려말 국가 방위에 큰 공헌을 했고 조선시대 화차, 총통 등 방산기술의 기초를 세웠다. 최무선의 연구개발 성과는 고려의 국방력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켰다. 조선시대에 이어 현대 방위산업 성장의 뿌리가 됐다. 아들과 손자로 대를 이어 연구개발에 매진한 게 오늘의 방산인재와 제조기업의 시초다.
조선시대 화력인 신기전(神機箭)은 고려 때 주화(走火)를 개량 발전시킨 로켓형 화살 병기다. 세종 때 주요 화약무기로 자리 잡았다. 세계 최초 장거리 미사일로 볼 수 있다. 대인 살상용 무기로서 위력보다 적의 함선이나 화약창고 같은 전략적 목표물을 궤멸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임진왜란 때도 적선을 침몰시키는 전과를 올렸다.
거북선도 빼놓을 수 없다. 조선 수군 승리에 결정적 역할을 한 독창적 전함이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조선 초기 태종 때 거북선과 왜선이 싸웠다는 기록이 있다. 임진왜란 직전에 이순신 장군이 주력 전함인 판옥선(2층 전함)을 개량해 건조한 게 거북선이다. 상부 갑판을 거북 모양의 덮개로 씌워 접근전 때 적이 배 위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했고, 전후좌우에 화포를 설치해 화력 공격이 가능했다. 뱃머리의 용머리는 연기를 뿜어내게 만들어 적함을 혼란시키거나 신호용으로 사용됐다. 거북 갑판으로 무장하자 적진을 향한 돌격전함으로 활용됐다.
K방산의 현재는 역사 속에서 움터 왔다. 고려시대 화통도감을 오늘날 우리 기업들이 전승했다. 국내 내수 무기체계는 물론 각국의 방위력에 주요 무기로 등장했다. 방산의 대표기업들이 만드는 무기는 종류를 열거하기 힘들다. KF-21 전투기, 경공격기, 수리온 헬기, 천궁 등 미사일, 군함 및 잠수함, 레이다 전자전 장비, K9 자주포, K2 전차, 장갑차 탄약, 포탄 등이다.
K방산은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에 이어 세계 5대 국방강국, 무기 수출 100억 달러 시대를 연 세계 10위의 방산국가가 됐다. ‘방위산업 4대 강국 달성’ 목표도 발표했다.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도 해외 세일즈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과거와 현재를 넘어 다시금 도약하는 K방산의 미래를 기대한다.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