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6일, 2025년 서울대학교 미래군사전략과정이 막을 내렸다. 올해 3월 시작한 이 과정은 기술안보 등 6개 분야로 나뉘어 20주 동안 진행됐다. 올해 8기를 맞이한 과정은 육군본부 정책실이 추진하며 장교, 육사·3사 생도, 학군후보생 등 다양한 인재가 모여 첨단기술과 국제정세, 방위산업 흐름을 심층적으로 학습하고 토론하는 장으로 자리 잡았다.
전쟁 양상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기술패권 경쟁, 인공지능(AI)·우주·무인체계의 부상은 안보환경을 근본적으로 뒤흔들고 있다.
기술의 발전은 국가안보를 강화하는 강력한 수단이지만 기술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경계작전에서 ‘자동화 태만’ 문제가 발생하듯 미래전략에서도 사람을 중심에 두지 않으면 기술은 한계를 맞는다.
나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연구를 이어왔다. 그 산물 중 하나가 ‘AI 기술안보 환경에서 미국 방산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혁신 생태계 비교 분석: 한국 방위산업의 제도적 전환을 위한 시사점’이라는 논문이다.
이 연구에서 미국 방산 생태계가 프라임 기업 중심 구조에서 스타트업이 개입하는 개방형 혁신 생태계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한국 방산 제도의 혁신과 연계할 방안을 모색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은 각각 국가방위산업전략서(NDIS)와 유럽방위산업전략서(EDIS)를 발표했다. 이는 단순한 무기 생산을 넘어 공급망·인력·혁신 생태계까지 아우르는 종합 전략이다.
한국도 ‘국방혁신 4.0’을 추진하며 내수 중심의 협소한 생태계를 점차 확장하고 있다. 이는 기술 자체보다 기술을 둘러싼 행위자와 제도,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이번 미래군사전략과정에서 배운 교훈은 명확하다. AI와 신흥안보 기술은 전략적 사고와 결합할 때 비로소 힘을 발휘한다는 점이다. 서울대학교 김상배 교수님은 인공지능 패권 경쟁을 단순한 기술 경쟁이 아니라 플랫폼·표준·생태계·규범 경쟁으로 설명하셨다.
기술을 선점한 국가가 국제질서를 주도할 수 있다는 사실은 결국 ‘기술을 활용하는 사람과 제도’가 승부를 가른다는 의미다.
이번 과정을 통해 학문적 연구를 넘어 실천적 태도의 중요성도 확인했다. 미래군사전략은 강의실 안에서 끝나는 학문이 아니다. 현장에서 반복 훈련되는 경계작전처럼 꾸준히 고민하고 검증해야 하는 영역이다. “만약 나라면?”이라는 질문을 던지고 워게임하듯 미래전의 시나리오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도 나는 연구 과제를 더욱 구체화하며 미래군사전략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기술과 사람이 함께 나아가는 길을 모색할 것이다. 또한 내년에도 인재들이 이 과정에 지원해 최신 안보 트렌드를 연구하고 군 발전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해주기를 기대한다.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