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군 항공우주안전심포지엄
공참총장 주관, 관계자 400여 명 참석
미 공군 무인기 안전관리체계 소개도
|
공군이 미래 항공우주 안전을 위한 민·관·군 협력의 장을 열었다. 공군은 18일 공군호텔에서 손석락 공군참모총장 주관으로 ‘2025 민·관·군 항공우주안전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항공우주력 발전과 연계한 선제적 안전관리’를 주제로 개최됐다. 심포지엄에는 우주항공청,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미 공군 등 항공우주 안전 분야 민·관·군 관계자 400여 명이 참석했다.
심포지엄은 △공참총장 개회사 △성일종 국회 국방위원장, 부승찬 국회 국방위원, 강대식 국회 국방위원(영상), 윤영빈 우주항공청장(대독), 허희영 항공대 총장 축사 △이재우 한국우주안보학회장 및 항우연 임종빈 전략기획본부장 특별강연 △세션별 주제 발표 순으로 진행됐다.
손 총장은 개회사에서 “세계 각국이 미래 항공우주전장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자원과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만큼 항공우주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소 또한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질 것”이라며 “오늘 심포지엄이 미래 항공우주 시스템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운용을 보장하기 위한 선진적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후 세션별 발표에서는 ‘무인·자동화 기반 미래항공 환경에서의 안전관리 방안’과 ‘우주임무 안전확보를 위한 정책 수립과 발전 방안’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의견을 나눴다. 발표 후에는 항공안전단 구본언·김찬식 박사가 세션별 사회를 맡아 토론을 진행했다. 특히 제이 구터슬로 팀장은 미 공군의 무인기 안전관리체계 현황을 소개하며 무인기 위험 관리 및 분석을 통한 전투력 향상 방안을 제시했다. 최만수 우주항공청 우주위험대응과장은 발표에서 우주안전을 위한 민·관·군 거버넌스 구축 필요성을 강조했다.
심포지엄을 계획한 박대준(군무이사관) 항공안전단장은 “공군 항공안전단은 비행안전, 지상안전 등 전통적인 안전 분야뿐만 아니라 첨단 무기 및 우주안전관리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앞으로 ‘항공우주안전단’으로 발전해 나가는 데 이번 심포지엄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조수연 기자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