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출산율 저하와 함께 65세 이상 인구가 2025년 전체 인구의 20%대에서 2060년에는 40%대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방의 의무를 이행할 현역 가용자원도 급감하면서 미래 안보를 우려하는 목소리 역시 커지고 있다. 미래 입대자원이 급격히 줄어드는 현실과 다변화하는 안보환경 대비를 위해 우리 군도 구조 개혁을 추진 중이다. 이에 군무원의 역할도 재조명되고 있다.
군무원의 역사는 대한민국 국군 창설과 함께 시작됐다. 1948년 국군조직법에 ‘문관’이라는 신분으로 군인의 보조 역할을 하도록 최초 편성된 이후 사회환경 및 부대구조 변화에 따라 1980년 군무원인사법에서 ‘군무원’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이후 직군·직렬, 직종 개편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국방혁신 4.0’에서 강조하는 첨단 과학기술 기반의 강군으로 거듭나기 위해선 군무원 스스로 의식 혁신과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먼저, 군무원은 국가 안전보장과 국토 방위의 사명을 가진 군의 주체라는 인식을 공고히 해야 한다. 단순히 군인의 보조 역할에만 국한되는 게 아니라 복무기간이 짧은 현역 장병의 숙련도를 상쇄할 든든한 지원군이자 대체불가 전문성으로 유사시 일당백의 능력을 갖춘 검증된 문·무인이라는 자부심으로 복무해야 한다. 아울러 현역들도 군무원의 지위·복무에 관한 이해도와 세심한 배려를 토대로 전우이자 팀원, 동반자라는 생각으로 함께 복무할 때 군 조직은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군무원 관리 및 발전을 위해 상급부대 소관부서에 군무원을 보직해야 한다. 2025년 기준 군무원 정원은 해군 병력보다 더 많다. 이처럼 급증하는 군무원의 정원을 고려할 때 국방부 등 소관부서에 군무원이 직접 보직돼 군무원 관리·발전에 필요한 관련 정책과 체감과제를 적극 발굴·추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군무원들의 업무 스펙트럼을 넓혀야 한다. 국군조직법상 군무원은 국방 관련 업무의 전문성·연속성을 높이기 위해 행정, 기술·연구 등의 비전투 분야에 한정해 임무를 수행해 왔다. 하지만 군무원들이 비전투 분야에서 보여 줬던 전문성을 바탕으로 적용 가능한 전투 분야까지 업무 영역을 확대한다면 군무원의 위상 제고는 물론 부대 전투력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우리 군은 오늘도 미래의 다양한 도전에 맞서 혁신적 변화를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중심에서 우리 군을 이끌어 가는 또 하나의 힘인 군무원들의 노력 또한 계속될 것이다.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