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지급액 5조7679억 원 중 46% 소진
음식점 사용 41% ‘최다’…마트·편의점 순
동네 슈퍼 열에 아홉 “전주보다 매출 늘어”
지역경제 활성화·내수진작 목표 현실화
행안부, ‘2차 지급’ 앞두고 기준 마련
정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상공인들의 수익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내수 진작이라는 정부의 목표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1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소비쿠폰 지급 이후 특히 생활밀착 업종의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 3일 기준 국내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소비쿠폰의 총 지급액 5조7679억 원 가운데 46%인 2조6518억 원이 사용됐다. 행안부는 소비쿠폰이 발행된 지난달 21일부터 이날까지 9개 카드사(KB국민·우리·NH농협·롯데·비씨·삼성·신한·하나·현대)로부터 소비자 사용액을 제공받아 분석한 결과 이렇게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매출액 증가율, 학원·의류·편의점·주유소 순
업종별로는 대중음식점이 41.4%(1조989억 원)로 가장 많았다. 마트·식료품(4077억 원·15.4%), 편의점(2579억 원·9.7%), 병원·약국(2148억 원·8.1%), 의류·잡화(1060억 원·4.0%), 학원(1006억 원·3.8%), 여가·레저 (760억 원·2.9%) 등이 뒤를 이었다.
카드 가맹점 전체 매출액도 늘었다. 본격적으로 소비쿠폰이 사용된 7월 4~5주 카드 가맹점 전체 매출액은 7월 3주 대비 각 19.5%, 8.4% 증가했다.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각각 5.5%, 6.5% 늘어난 결과다.
7월 3주에 비해 매출액 증가폭이 가장 큰 업종은 음식점, 주유소, 의류·잡화점, 마트·식료품 순서로 나타났다. 매출액 증가율로 보면 학원(33.3%), 의류·잡화(19.7%), 편의점(13.1%), 주유소(13.1%) 등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7월 5주에는 의류·잡화(22.9%), 학원(22.8%), 여가·레저(19.9%), 음식점(16.8%), 마트·식료품(16.5%) 순서로 매출액 증가율이 높았다.
소상공인들 반응도 긍정적이다.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는 동네 슈퍼마켓 점포 119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소비쿠폰 사용이 집중된 지난달 21~27일 매출이 전주보다 증가했다는 응답이 90.8%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소비쿠폰으로 구매한 품목은 세제, 휴지 등 생필품이 66.4%로 가장 많았다. 연합회는 “소비쿠폰이 골목상권 회복과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내수 회복으로 이어지나…소비자심리지수 ‘낙관’
행안부는 소비쿠폰 신청·접수 일주일 만에 예상 지급 대상자의 78.4%인 3967만 명이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후 7월 31일 기준 누적 총 4555만 명이 신청해 국민의 90%가 수령을 완료했다고 전했다. 신용·체크카드 등을 모두 포함한 소비쿠폰 지급액은 총 8조2371억 원에 이른다.
행안부는 “소비쿠폰은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 2021년 국민지원금의 같은 기간(지급 첫 일주일)과 비교할 때 신청 비율이 각각 24.0%포인트, 10.2%포인트 증가하는 등 상당히 빠른 속도로 신청이 이뤄졌다”고 분석했다.
소비쿠폰 효과로 소비심리가 개선되면서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나오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소비판매지수는 13분기 연속 감소해 199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장 기간 소비위축 기록을 세웠지만 소비쿠폰 지급으로 반등할 전망이다.
여신금융협회는 올해 2분기 전체 카드 승인액은 313조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7% 증가했다고 밝혔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와 관련, “소비자심리지수가 88 수준에서 소비쿠폰 지급 이후 110까지 올라갔다”고 부연하며 “소비쿠폰 덕분에 국민이 많이 힘을 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통상 소비자심리지수는 100 이상이면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낙관적이고 그 이하면 비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한다.
행안부는 아직 소비쿠폰을 신청하지 못한 소수의 국민도 기간 안에 빠짐없이 지급받을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찾아가는 신청’을 적극 추진하고, 사용 과정에서도 국민의 불편이 없도록 사용처 등에 대한 홍보·안내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또 다음 달 22일 시작되는 2차 지급을 앞두고 본격적인 지급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윤 장관은 “앞으로도 경기회복의 마중물 효과가 지속되고 민생 경제가 개선되도록 소비쿠폰의 신속한 소비와 추가 소비 진작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맹수열 기자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