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무청, 군 모집병 선발 개선안 발표
10월부터 한국사·한국어 시험 빠져
전투 관련 자격증 외 비공인 모두 폐지
육군 기술행정병 일부는 연 모집 도입
오는 10월부터 군 모집병 선발 시 임무수행 연관성이 적은 비공인 자격증에 대한 가산점이 폐지된다. 육군 기술행정병 일부 특기는 내년도 입영일을 올해 확정할 수 있게 된다. 병무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모집병 선발 개선방안을 7일 발표했다.
먼저 군 임무수행 연관성이 적은 평가항목은 과감히 폐지·축소된다. 그동안 모집병 선발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산점을 취득해야만 했다. 이는 우수한 인력을 획득하기 위함이었으나 반대로 병역의무 이행을 준비하는 청년에게는 큰 부담이 됐다.
병무청은 10월 모집병 접수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과 한국어능력시험 가산점 2종을 없애고, 무도단증 등 전투(특기)와 관련 있는 자격증 외 비공인 민간자격은 모두 폐지했다. 그 상한선도 애초 15점에서 10점으로 낮추고 육·해·공군, 해병대 각각 달리 적용되던 고교 출결 배점도 모두 5점으로 축소 통일했다.
병무청은 “모집병 지원자가 불필요한 자격증 취득 등 스펙 경쟁에 몰두하던 일들이 많이 줄어들 전망”이라며 “제도개선을 통해 청년의 군 입영 준비 부담은 덜어주고 모집병 선발 업무의 효율성은 제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육군 기술행정병 일부 특기에는 ‘연 모집제도’를 시범 도입한다. 지금까지는 매월 접수·선발을 통해 3개월 후 입영했다. 이에 비선호 시기에는 지원자 감소로 안정적인 병력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병무청은 내년 입영 육군 기술행정병의 6개 특기(장갑차조종·K55자주포조종·K9자주포조종·화생방제독·차륜형장갑차운전·일반의무)에 올해 모집하는 연 모집 체계를 시범 운영해 10월 중 선발할 계획이다. 7600여 명 규모이며 연간 기술행정병 소요의 15%다.
조기 입영일을 확정함으로써 병역이행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학업 등 차질없는 미래설계와 입영 준비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병무청은 설명했다.
홍소영 병무청장은 “군 임무와의 관련성이 낮은 평가항목을 정비해, 더 실질적이고 공정한 선발체계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라며 “병역이 개인에게는 성장의 계기가 되고, 사회에는 명예로운 기여로 인식되도록 입영제도 전반을 국민 눈높이에 맞춰 끊임없이 다듬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해령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