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국에 잠든 유해 12일 국내로 봉환
‘대동보국회 설립’ 문양목 지사 등 포함
보훈부,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 예정
머나먼 타국에 잠들어 있던 독립지사 6명의 유해가 광복 80년 만에 그리던 조국의 품으로 돌아온다. 국가보훈부는 7일 “광복 80주년을 맞아 미국, 브라질, 캐나다에 안장된 문양목·임창모·김재은·김기주·한응규·김덕윤 지사의 유해를 국내로 봉환한다”고 밝혔다.
보훈부는 5개 유해 봉환반을 편성, 8·9일 현지로 파견할 예정이다. 봉환반은 유족과 함께 현지 공관, 교민 단체에서 주관하는 추모식 등에 정부 대표로 참석하는 등 봉환 절차를 진행한다.
문양목 지사는 1905년 조국을 떠난 지 120년 만에 꿈에 그리던 고국으로 돌아오게 됐다. 충남 태안 출신인 문 지사는 미국으로 건너가 대한인국민회의 전신인 대동보국회를 설립했다. 또 장인환·전명운 의사 재판후원회를 조직해 지원에 앞장섰으며 대한인국민회 총회장을 맡는 등 일생을 독립에 헌신했다.
하지만 문 지사의 유해 봉환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 이장 권리를 갖는 유족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보훈부는 미국 법원을 상대로 파묘 및 이장 청원 소송을 제기했고, 교민 1000여 명의 서명서를 받는 등 1년 동안 끈질긴 노력 끝에 승인 결정을 받아냈다.
마찬가지로 미국에 안장된 임창모 지사는 미국 내 3·1운동에 적극 참여했고, 이후 흥사단 단원과 대한인국민회 임원으로 활동하며 독립자금 모집에 앞장섰다. 미국에 안장된 김재은 지사와 브라질에 안장된 한응규·김기주 지사는 광복군에서 활약했다. 캐나다에서 잠든 김덕윤 지사는 일본 유학 중 비밀결사단체 열혈회를 조직해 활동하다 옥고를 치렀다.
봉환반은 각 독립유공자의 현지 추모식 일정이 끝나면 유해·유족과 함께 오는 12일 입국할 예정이다. 유해는 이튿날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봉환식을 마친 뒤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된다.
권오을 보훈부 장관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셨던 독립유공자의 유해를 고국 산천으로 모시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면서 “여섯 분의 귀환을 국민적 예우와 추모 속에 영면하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맹수열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