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
“트럼프, 김정은과 만남 열려 있어
비핵화와 유해 송환은 분리돼야
고립 벗어나 신뢰 쌓는 계기될 것”
|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들어 북·미 채널을 복원하는 데 6·25전쟁 당시 미군 포로와 실종자의 유해 발굴이 좋은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라고 6일(현지시간) 강조했다.
켈리 맥키그 DPAA 국장은 이날 미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행정부가 북한과의 소통 채널을 복원하는 데 열려 있다고 우리는 낙관하고 있으며, 이 임무(유해 발굴)가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북한 김정은은 2018년 6월 당시 집기 1기인 트럼프 대통령과 싱가포르에서 만난 1차 정상회담에서 미군 전쟁포로·실종자 수습 협력을 약속했고, 같은 해 8월 미국에 유해 상자 55개를 전달한 바 있다.
DPAA는 이때 받은 상자에 총 250명의 유해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감식해 왔으며 그 결과 지금까지 102명이 미군으로 신원이 확인됐고, 약 90명은 한국군으로 추정돼 한국에 송환했으나, 이후 북한과의 관계가 경색되면서 유해 발굴은 중단된 상태다.
맥키그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다시 만나는 데 열려 있다”고 전제한 뒤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미국이 비핵화를 언급하는 한 북·미 회담은 없다’는 입장을 밝힌 데 대해 “비핵화와 유해 송환은 분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군 유해 발굴이 “(상호) 신뢰를 쌓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이 사안은 북한을 고립에서 벗어나 국제 사회와 협력하는 방향으로 이끄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미국이 과거 적국이었던 베트남뿐 아니라 현재 대립 중인 중국·러시아와도 인도적 차원에서 유해 발굴·송환에 협력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맥키그 국장은 “실제로 중국은 우리가 관세 문제, 남중국해 문제 등 여러 갈등 요인을 다루는 와중에도 ‘이건 별개다. 인도적 사안이다. 도와주겠다’고 했다”며 “중국 랴오닝성에서 4주일째 한국전쟁 당시 전투기 추락 유해를 찾고 있는 중”이라고 소개했다.
러시아와도 최근 소통 채널이 다시 열리면서 “지난달 러시아의 기록보관소에 다시 (접근을) 허가받아 기밀이 해제된 (전사자 유해 관련) 자료들을 조사할 수 있게 됐다”고 DPAA 관계자는 전했다. 연합뉴스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