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부터 휴가·외출 보상 15개소로
육군 위주에서 전군으로 범위 넓혀
안보의식 함양·기념관 방문 활성화
|
휴가 중 자발적으로 현충시설을 견학하는 병사를 위한 보상제도가 확대 시행된다. 방문 시 휴가 하루를 부여하는 시설이 기존 1개소에서 5개소로 늘고, 외출 보상 시설도 총 10개소로 확대·신설된다.
국방부와 국가보훈부는 이 같은 내용의 ‘휴가 장병 현충시설 견학 보상제도’ 확대를 협의해 1일부터 시행한다고 30일 밝혔다.
보상제도 확대에 따라 △독립기념관 △서해수호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전쟁기념관을 휴가 중 견학한 병사는 휴가를 하루 더 받을 수 있다. 기존에는 독립기념관만 대상 시설이었다. 전쟁기념관은 애초 방문 시 외출 하루가 부여됐지만, 이번에 휴가로 보상이 커졌다.
더불어 백범김구기념관 등 10개소를 휴가 중 방문한 병사는 외출을 하루 받는다. 특히 △백범김구기념관 △안중근의사기념관 △유엔평화기념관 △호남호국기념관 등 4개소는 육군 병사만을 대상으로 보상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지만, 전군 병사로 혜택 범위가 넓어졌다.
또한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 △육군박물관 △공군박물관 △해병3·4기 호국관 △해병대기념관 등 6개소는 이번에 새롭게 지정됐다.
다만 휴가와 외출 보상은 군 복무 중 각각 1회만 가능하다. 다른 기관을 방문해도 중복 보상되지 않는다. 같은 날짜에 휴가와 외출을 모두 보상받는 것도 제한된다. 부대에서 일과 중 단체견학한 경우도 보상받을 수 없다. 자율적으로 방문한 경우에만 인증된다.
나치만 국가보훈부 보훈문화정책관은 “수도권 위주였던 보상 대상 현충시설이 충북, 경북, 제주 등 타 지역으로 확대됐다”며 “병사들이 연고지 또는 복무지 인근에서 순국선열과 호국영웅들의 애국정신을 체험하고 국가안보 의식을 함양하는 것은 물론, 현충시설 방문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해령 기자
휴가 보상 적용 : 5곳
△독립기념관 △서해수호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전쟁기념관
외출 보상 적용 : 10곳
△백범김구기념관 △안중근의사기념관 △유엔평화기념관 △호남호국기념관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 △육군박물관 △공군박물관 △해병3·4기 호국관 △해병대기념관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