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일까지 전반기 합동상륙훈련
KAAV·마린온 등 입체 전력 대거 동원
공병 주축 장애물 개척 TF 최초 운용
무인전력 활용 미래 다변화 위협 대응
|
해군·해병대가 완벽한 합동상륙훈련 전개를 통해 상륙작전 수행능력과 다변화된 미래 위협에 대응할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다.
해군과 해병대는 지난 22일부터 5월 1일까지 경북 포항시 일대에서 상륙작전 수행절차 숙달을 위해 합동자산을 운용한 가운데 ‘2025년 전반기 합동상륙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28일에는 포항 독석리 해안에서 상륙목표 확보를 위한 결정적 행동에 나섰다.
이번 상륙훈련은 육·해·공군, 해병대 합동전력 3200여 명이 참가하는 여단급 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를 비롯해 1만4500톤급 대형수송함(LPH) 마라도함, 2600·4900톤급 상륙함(LST-I·Ⅱ)과 동원선박, MUH-1 마린온, 공군 KF-16 전투기 등 입체 전력이 대규모로 동원됐다.
해병대는 훈련의 실전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훈련에 참가한 상륙군 대부분을 상륙함과 동원선박에 탑재해 작전개념에 맞는 해상·공중돌격을 전개했다. 특히 미래 상륙작전의 다변화된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훈련 과제를 선정해 합동상륙훈련 전반에 적용·시행했다.
상륙지역의 기뢰와 수중장애물 등 위험물을 처리해 여건 조성을 마친 해군·해병대는 28일 새벽 KAAV의 최초돌격을 시작으로 결정적 행동에 돌입했다. 결정적 행동은 해병대 상륙군이 해군 함정의 함포와 공군 전투임무기의 지원을 바탕으로 해안 거점을 확보하고 지상작전으로 전환을 준비하는 상륙작전의 하이라이트다.
해병대는 상륙해안에 해안제방·수로 등 장애물을 개척하기 위해 최초로 공병을 주축으로 하는 장애물 개척 태스크포스(TF)를 훈련계획에 반영해 운용했다. 또 전투장갑도저와 지뢰지대개척 선형폭약(미클릭) 등 장비를 투입해 지뢰지대와 장애물을 제거하고 출구를 개척, 상륙군이 지상작전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을 보장했다.
해군·해병대는 이번 훈련 성과를 바탕으로 상륙작전 계획과 합동전력 운용 절차를 발전시키고, 강화된 합동성과 압도적인 힘을 바탕으로 국가와 국민이 부여한 임무를 완벽히 수행할 예정이다.
결정적 행동 뒤에는 다음달 1일까지 합동해안양륙군수지원, 수색대대 적지종심부대 투입, 합동 화물의장 공중투하, 제병협동 전투 등 이번 합동상륙훈련과 연계한 훈련을 다방면으로 실시해 제대별 임무수행능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상륙기동부대사령관인 조성국(대령) 해군53상륙전대장은 “해군·해병대가 원팀이 돼 바다로부터 전투력을 투사하는 상륙작전 수행능력을 향상했다”며 “무인전력을 적극 활용하는 등 미래 다변화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조수연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