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만㎡ 부지 5만 기…2027년 준공
산림 훼손 최소화 환경친화적 조성
안장·추모·보훈·나라사랑 교육공간
국립서울·대전현충원에 이어 제3의 현충원인 ‘국립연천현충원’ 조성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보훈부(보훈부)는 24일 오후 경기 연천군 국립연천현충원 조성사업 부지에서 착공식을 한다고 23일 밝혔다.
경기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일대 95만7000여 ㎡ 부지에 조성되는 연천현충원은 2018년 부지 선정 후 ‘국립묘지법’ 개정과 설계 및 인허가, 토지보상 등을 거쳤다. 총사업비는 1298억 원이 투입된다. 안장 규모는 봉안당(2만5000기), 봉안담(2만 기), 자연장(5000기) 등 총 5만 기다. 보훈부는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천현충원 조성사업은 나무 벌목 등 산림 훼손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논밭을 중심으로 공사를 하는 등 환경친화적으로 추진한다.
현재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는 34만여 명이며, 안장 여력은 11만 기다. 23만여 기의 봉안시설이 부족해 추가적인 묘역 조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보훈부는 연천현충원(5만 기)과 국립횡성·장흥호국원 3만3000기(횡성 2만, 장흥 1만3000기)를 신규 조성하고, 올해 국립영천·임실·이천호국원의 봉안시설 확충사업으로 10만여 기를 확보할 계획이다.
강정애 장관은 “보훈부는 연천현충원이 국가유공자분들을 품격 있게 예우하는 안장·추모공간은 물론 국민이 일상에서 즐겨 찾는 보훈문화공간, 미래 세대가 호국영령의 나라사랑 정신을 배우는 교육공간이 될 수 있도록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임채무 기자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