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쿠르스크서 북한군 병력 절반 5000여명 사상”

입력 2025. 04. 02   16:50
업데이트 2025. 04. 02   16:52
0 댓글

英 국방부 “사상자 중 3분의 1 전사”
소모적인 보병 진격 작전이 원인
1~2월 3000명 이상 추가 파병된 듯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에서 병력의 절반에 가까운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현지시간) 외교안보 전문지 ‘내셔널인터레스트’에 따르면 영국 국방부는 지난달 28일자 국방정보 업데이트에서 “3월 현재 북한군은 러시아 쿠르스크에서의 공격 작전으로 50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으며, 이 가운데 약 3분의 1이 전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0~11월께 이 지역에 배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군 병력 1만1000여 명의 절반에 육박하는 규모다. 북한군은 사상자가 대규모로 발생하자 잠시 철수했다가 정비를 거쳐 전선으로 돌아왔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지난달 27일 러시아로 파병된 북한군 1만1000여 명 중 약 4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올해 1~2월 3000명 이상이 증원 개념으로 추가 파병된 것으로 파악한다고 밝혔다.

영국 국방부는 “북한군의 높은 사상자 비율은 대규모로 소모적인 보병 진격 작전을 벌인 데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북한군의 지원은 러시아가 쿠르스크 지역에서 반격을 통해 빼앗겼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되찾는 데 도움이 됐다는 평가다.

작년 8월 기습 공격을 통해 우크라이나군은 쿠르스크에서 한때 1300㎢에 이르는 땅을 장악했지만, 지금은 최소한의 발판만 지키고 있는 수준으로 분석된다.

다만 북한군의 활동 영역은 여전히 쿠르스크에 국한돼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국제적으로 엄연히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인정받는 지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의 최종 승인이 필요할 것이라고 영국 국방부는 내다봤다.

내셔널인터레스트는 “북한군의 쿠르스크 배치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의 장거리 미사일 사용 승인으로 이어졌다”며 “북한군이 확전에 나선다면 서방의 비슷한 대응을 촉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댓글

오늘의 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