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기동함대사령부 창설
기동·기동군수·기지 전대로 구성
유사시 북 미사일 조기 탐지·요격
김인호 소장, 초대 사령관 맡아
“압도적 전력으로 전승 보장할 것”
|
북한의 핵·미사일을 비롯한 전방위 안보위협에 대응할 해상 기반 ‘한국형 3축체계’ 핵심 부대가 본격적인 임무 수행에 돌입했다.
해군은 2일 “수중 킬체인, 다층 미사일 방어체계, 정밀타격 능력을 보유한 해상 기반 ‘한국형 3축체계’ 핵심 전력이자 국가 생명줄인 해상교통로를 보호할 기동함대사령부(기동함대)가 2월 1일부로 창설됐다”고 밝혔다.
해군은 3일 오전 11시 해군제주기지에서 양용모 참모총장 주관으로 창설식을 할 예정이다. 기동함대가 문을 연 것은 1989년 최초 필요성이 제기된 지 36년 만이다. 2010년 기동함대 모체(母體)인 7기동전단 창설 후 15년이 걸렸다.
기동함대는 소장급 사령관이 지휘한다. 초대 사령관은 김인호 소장이다. 예하에 정조대왕급(8200톤)·세종대왕급(7600톤) 이지스 구축함(DDG)과 충무공이순신급(4400톤) 구축함(DDH) 등으로 이뤄진 3개 기동전대, 1만 톤급 소양함 등 군수지원함(AOE)으로 이뤄진 기동군수전대, 육상 기지방호 및 지원 임무를 수행하는 1개 기지 전대로 구성됐다.
추후 국내 개발 다기능 위상배열레이다와 전투체계를 적용할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도 건조되면 기동함대로 예속될 예정이다.
기동함대는 동·서·남해를 담당하는 1·2·3함대와 달리 임무·역할에 따라 필요한 해역에서 부여된 임무를 수행한다. 우수한 기동성과 작전 수행능력을 바탕으로 수상·수중·공중 표적을 원거리에서 조기 탐지하고, 긴 사거리의 대함·대공·대잠·대지 무장으로 타격할 수 있는 강한 전투력을 갖췄다.
7기동전단이 대탄도탄작전과 청해부대 파병 등 주로 부여된 임무에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해 왔다면 기동함대는 보다 효율적인 전력 운용과 작전을 주도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기동함대의 주요 임무는 △해상 기반 한국형 3축체계 핵심 전력으로 북한 핵·미사일 위협 억제 △한반도 주변 해역 감시·대응을 위한 기동부대 작전으로 대한민국 해양권익 보호 △대한민국의 생명줄인 해상교통로 보호 및 해외파병 등이다.
또 유사시에는 △압도적인 전력으로 북방한계선(NLL) 등 임무 해역에 투입돼 해양 우세권 달성 △북한 탄도탄 등 미사일을 조기 탐지·요격하는 대탄도탄작전 △장거리 타격 능력을 토대로 핵심 표적 정밀타격 등을 수행한다.
초대 사령관이라는 중책을 맡은 김 사령관은 “기동함대는 국가와 국민이 필요로 하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대한민국 주권과 해양권익을 보호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유사시 압도적 전력으로 전승을 보장하고, 정부 정책을 힘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부대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역설했다. 조수연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