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두 달 만에 미사일 도발 나선 이유
러 파병 따른 체제 불안정 해소 목적
러 극초음속 기술 이전엔 의견 엇갈려
한동안 조용하던 북한이 두 달 만에 미사일을 발사하면서 ‘도발 시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2주를 앞둔 가운데 김정은이 지난달 밝힌 ‘최강경 대미 대응전략’의 하나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장은 7일 “북한이 바이든 행정부에서 이어온 강경한 대미정책이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다고 해서 쉽게 바뀌지 않을 거라는 걸 보여주는 것”이라며 “김정은이 계획한 ‘일정표’대로 계속 밀고 간다는 것을 과시하는 모습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여기서 일정표는 북한이 2021년 8차 당대회를 통해 제시한 ‘국방력 발전 5개년 계획’을 뜻한다. 북한은 올해까지 극초음속 미사일, 핵추진잠수함, 군사정찰위성 등 과업을 달성하겠다고 공언했다.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 ‘몸값’을 올리려는 움직임이라는 평가도 있다.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은 “이번에 북한은 지난해 4월 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의 성능을 개량했다”며 “‘왜 하필 지금 쐈느냐?’가 발사 의도인데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맞춰서 몸값을 올리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라고 짚었다. 트럼프 당선인이 대북 대화를 재개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른 태도라는 분석이다.
또 다른 해석의 여지도 있다. 러시아 파병에 따른 체제 불안정에 대한 전략적 행위라는 것이다. 김 실장은 “러시아에 파병된 군인이 수천 명씩 죽는 등 북한은 절대 여유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파병으로 내부가 불안정해지니 미사일을 발사해 체제 안정을 취하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와 기술 협력을 했을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선 의견이 다양하다. 정 센터장은 “러시아도 북한을 향해 파병 선물을 줬을 것”이라면서 “극초음속 미사일 기술도 그중 하나”라고 점쳤다. 반면 김 실장은 “러시아가 직접적 기술을 줬다는 건 어렵다고 본다”고 일축했다. 김 실장은 “북한이 처음 극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한 건 2023년 9월 러·북 정상회담 이후 이듬해 4월”이라며 “6개월 만에 기술을 받아 개발한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북한이 러시아를 해킹해 기술을 획득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내다봤다. 김해령 기자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