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캐나다 총리와 통화
“북, 전선 투입 예상보다 빠른 속도”
재건 지원 대표 우크라 파견하기로
정부, 실질적 외교·안보 조치 이어가
대통령실 “우크라 특사 방한 논의”
윤석열 대통령이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실제 전선 투입이 예상보다 빠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우리 정부의 대응에도 가속이 붙고 있다.
윤 대통령은 30일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통화에서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실제 전선 투입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이뤄질 수 있는 엄중한 상황”이라며 관련 정보와 의견을 교환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과 캐나다가 국제사회와 함께 강력하고 단합된 대응을 이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한 뒤 “캐나다에서 열리는 ‘우크라이나 평화공식 장관급 회의’에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정부 대표를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에서도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와 유럽연합(EU), 우크라이나에 대표단을 급파해 북한군 파병에 관한 우리 측 정보를 우방국과 투명하게 공유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또 “러시아가 북한에 민감한 군사기술을 이전할 가능성도 문제지만 6·25전쟁 이후 현대전을 치러보지 않은 북한이 우크라이나전에서 얻은 경험을 100만 명이 넘는 북한군 전체에 습득시킨다면 우리 안보에 커다란 위협이 될 것”이란 우려를 표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정부는 우리 안보를 위협하는 러·북의 군사적 야합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의 전장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실효적인 단계적 대응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의 지적처럼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선 투입이 가시권으로 다가온 것으로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도 이날 “북한군 파병 규모는 1만1000명 이상이며, 이 가운데 3000명 이상이 이미 러시아 서부 교전지역 가까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간사인 이성권·박선원 의원 역시 이날 국방정보본부가 정보위 국정감사에서 “파병된 북한군이 전선에 투입돼 있다는 정확한 정보는 아직 없지만 일부 선발대가 전선에 투입됐을 개연성은 있어 보인다”고 보고했다고 전했다. 정보본부는 이 자리에서 “쿠르스크 등 전장으로의 이동이 임박한 것은 사실”이라고 부연했다.
이성권·박선원 의원에 따르면 국가정보원 역시 전날 정보위 비공개 국정감사에서 “김영복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을 포함한 선발대가 전선으로 이동 중이라는 첩보가 있는데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김정은 측근으로 꼽히는 김영복은 그동안 외신에서 러시아 파견부대 총책임자로 지목했던 인물이다.
북한군의 전선 투입이 임박함에 따라 국방부를 비롯한 정부는 실질적인 외교·안보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제56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를 위해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 김용현 국방부 장관은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과 러·북 군사협력 및 북한의 연이은 도발의 대응 방안을 논의 중이다. 한미가 이와 관련한 강력한 규탄 메시지를 내놓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전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미카엘 오스트룹 옌센 덴마크 의회 외교정책위원장 등 의회 대표단을 만나 “우리 정부는 북한군의 즉각적인 철수와 러·북 간 불법적인 군사협력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며 “국제사회와 함께 실질적인 대응 조치를 단계적으로 취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같은 날 한국을 방문한 커티스 스캐퍼로티·로버트 에이브럼스·월터 샤프 등 전직 주한미군사령관과 만나 현재 상황에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긴밀한 한미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의 지시로 구성된 정부 대표단은 나토·EU를 잇따라 방문, 북한군 파병 동향을 브리핑했다. 대표단 일부는 이후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모니터링단 파견, 무기 지원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번주 안으로 우크라이나 특사파견 계획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며 “그다음 단계적 조치의 결정적 기준은 북한군이 참여한 전투 개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맹수열 기자
해당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