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과학기술 R&D 예산 24.8조…역대 최대 규모

입력 2024. 06. 27   17:18
업데이트 2024. 06. 27   17:31
0 댓글

대통령실 “올해 대비 13.2% 증액”
기재부 편성분 포함 땐 30조 원대
AI 반도체·첨단바이오·양자에 3.4조

대통령실은 27일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이 24조8000억 원 규모로 책정됐다며 “과학기술 혁신본부 편성 기준 역대 최대 규모”라고 밝혔다.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이날 서울 용산 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올해 주요 R&D 예산 21조9000억 원 대비 13.2% 늘어나는 것”이라며 “내년도 정부 총 예산 증가율이 4%선으로 예측되는 것을 감안하면 재정 여력이 없는데도 최선을 다해 큰폭을 증액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수석은 “R&D 예산은 주요 R&D와 일반 R&D로 나뉘는데, 기획재정부에서 편성할 일반 R&D 예산 등이 추가되면 2025년도 정부 R&D 총 규모는 이전까지 최대였던 2023년도의 29조3000억 원을 넘어 30조 원에 육박할 것이 확실시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우선 인공지능(AI)-반도체, 첨단바이오, 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 기술에 3조4000억 원을 투입한다.

AI R&D에는 1조1000억 원을 투입하며 차세대 AI와 AI 반도체 투자를 확대한다.

첨단 바이오는 디지털 바이오와 바이오 제조 핵심 기술 투자를 강화하고 필수·지역의료 현안 기술 개발을 지원하며, 양자 기술은 국내 연구생태계 내실 및 글로벌 협력 기반 강화, 양자 핵심 기술 확보에 투자를 늘린다.

올해 새로 도입한 ‘혁신·도전형 R&D’ 분야에는 약 1조 원을 투입한다.

기초연구에는 올해보다 11.6% 늘어난 2조9400억 원을 투입한다.

도약 연구를 신설해 우수 성과자의 후속 연구를 지원하고, 개척 연구를 통해 새로운 분야의 연구를 할 수 있게 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반도체, 차세대통신 등 첨단기술 초격차 확보에는 2조4000억 원을 투입한다.

우주와 미래 에너지 등에는 3조2000억 원을 투자한다.

이 가운데 우주 분야에는 우주탐사, 차세대 발사체 등을 중심으로 약 1조 원을 투입하며 에너지 분야는 차세대원자로 원천기술, 무탄소 에너지 생산·공급·활용 기술, 공정혁신과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에 투자한다. 이주형 기자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댓글

오늘의 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