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무공훈장 찾아주기 3만 명 넘었다

입력 2024. 06. 17   17:12
업데이트 2024. 06. 18   08:24
0 댓글

조사단, 전국 탐문활동 적극 전개
상반기 수훈자 2513명에게 전달
미교부 5만8000여 명 중 절반 넘겨
“국민참여전화 등 많은 관심 가져주길”

 

이철성 6·25무공훈장찾아주기조사단장이 지난 12일 고 안정희 옹의 장남 안재홍 씨 자택에서 안씨에게 부친의 무공훈장을 전수하고 있다. 한재호 기자
이철성 6·25무공훈장찾아주기조사단장이 지난 12일 고 안정희 옹의 장남 안재홍 씨 자택에서 안씨에게 부친의 무공훈장을 전수하고 있다. 한재호 기자



육군인사사령부 6·25무공훈장찾아주기조사단(조사단)이 올해 상반기 2500여 명의 훈장 주인을 찾아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나라를 위해 헌신한 이를 끝까지 잊지 않겠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2019년 출범한 조사단은 이로써 미교부 수훈자 5만8000여 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이들에게 훈장을 전해 드리는 성과를 거뒀다.

17일 조사단에 따르면 올 상반기 조사단이 훈장을 전달한 수훈자는 2513명이다. 이로써 총 수훈자 수는 3만 명을 돌파했다. 그동안 조사단이 매년 6000여 명의 수훈자에게 훈장을 전수한 것을 감안하면 평균치에 약간 모자라 보이지만, 행정기록과 신원이 일치하지 않는 이들만 남은 상황을 고려한다면 상당한 선전이다.  

6·25전쟁 무공훈장 수훈자는 17만9000여 명에 달한다. 하지만 전쟁 당시 훈장 수여 대상자가 됐음에도 실제로 전달받지 못한 미지급·미수여자도 상당수였다.

국방부는 1955년부터 현역 복무 중이었던 군인을 시작으로 전역 군인, 전사자 유가족으로 대상을 확대해 훈장을 교부했다. 1966년부터 2017년까지는 언론 등을 통해 무공훈장 찾아주기 운동을 전개했지만, 인력·예산 부족 등으로 난항을 겪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2019년 7월 여야 국회의원 34명이 관련 특별법 제정안을 공동 발의하면서 속도가 붙었다. ‘6·25전쟁 무공훈장 수여 등에 관한 법률안’ 제정으로 빠르게 수훈자들의 명예를 고양하고 보훈 혜택을 받도록 한 것. 조사단은 이에 따라 육군인사사령부 안에 편성돼 공식적인 임무를 개시했다. 조사단 출범 당시 미수훈자는 5만8000여 명에 달했다.

조사단의 임무는 훈장 미수훈자의 흔적을 찾아 본인·유가족에게 연락하고 훈장을 전달하는 것이다. 현재 조사단은 서울·경기도·강원도, 충청도·대구·경북, 전라도·부산·경남·제주도 등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나눠 탐문을 펼치고 있다.

특히 수훈자·유가족에게 훈장을 전수하는 행사는 조사단 활동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 3~5일에는 전남 나주, 전북 임실, 충남 천안 등에서 생존 수훈자인 임중택(96)·장형진(93)·민태문(95) 옹에게 70여 년 만에 화랑무공훈장을 전달했다. 아흔을 훌쩍 넘긴 호국영웅들에게 훈장을 돌려준 것은 조사단이 각고의 노력으로 얻어 낸 성과로 꼽힌다. 21일에는 박안수 육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전남 구례에서 3만 번째 주인공인 무공수훈자 3인의 뜻깊은 수여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이철성(대령) 조사단장은 “국민참여전화(1661-7625)로 연락하면 참전용사의 무공훈장 서훈 여부를 안내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조수연 기자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댓글

오늘의 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