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보훈부, 제대군인 양질 일자리 제공 힘 모은다

입력 2024. 05. 24   17:47
업데이트 2024. 05. 27   09:17
0 댓글

전략적 협업과제 협의회 2차 회의
취업 정보 공유·신속한 지원 체계 구축
고용 우수 기업 우대 제도도 마련 예정

김은성(가운데 오른쪽) 국방부 보건복지관과 김진수(가운데 왼쪽) 국가보훈부 제대군인국장이 지난 24일 ‘국방-보훈 전략적 협업과제 협의회’ 2차 회의를 주관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김은성(가운데 오른쪽) 국방부 보건복지관과 김진수(가운데 왼쪽) 국가보훈부 제대군인국장이 지난 24일 ‘국방-보훈 전략적 협업과제 협의회’ 2차 회의를 주관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국방부와 국가보훈부가 전역(예정) 군인의 일자리 지원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국방부는 지난 24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김은성 보건복지관과 김진수 국가보훈부(보훈부) 제대군인국장 공동 주관으로 ‘국방-보훈 전략적 협업과제 협의회’ 2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방-보훈 전략적 협업과제 협의회는 지난 2월 윤석열 대통령 지시에 따라 부처 간 칸막이를 허물고 협업 행정을 실천하기 위해 시행된 ‘전략적 인사교류’의 후속 조치 중 하나다.

국방부와 보훈부는 지난 3월 제대(예정) 군인 권익증진 및 복지정책 강화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했고, 지난달 28일 1차 회의를 열어 협업과제 3건을 선정했다.

협업과제 3건은 △전역(예정) 군인의 취업 활성화 지원 △국방부 전역지원플랫폼(스마트 인재관리시스템)-보훈부 제대군인전직지원시스템(VNET) 연동 △제대군인 고용 우수기업·기관 우대지원제도 발굴 지원이다.

그중 전역(예정) 군인의 취업 활성화 지원을 위해 국방부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군 직무를 표준화하고,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 대상을 5년 미만 단기복무 전역 예정자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 국가보훈부는 전직지원서비스를 발굴하고, 전역 직후 구직 활동 지원 강화를 위한 전직지원금 인상 및 국방부 현장연수제도를 적극적 안내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방부 스마트인재관리시스템과 보훈부 제대군인전직지원시스템을 연계해 제대군인을 위한 취업 정보를 공유·활용하며, 추가 서류 제출 없이 양질의 맞춤형 일자리를 신속히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보훈부가 운영하는 ‘제대군인 고용 우수기업·기관’의 인증을 받은 기업이 입찰하면 가점을 부여하도록 관계 규정을 개정해, 제대군인 고용 우수 인증기업 등을 우대하는 제도적 지원체계도 마련할 예정이다.

이번 2차 회의에서 두 부처는 이 같은 전략적 협업과제 목적 달성을 위해 긴밀한 협업이 필요하다는 것에 인식을 함께하고, 협업과제 외에 추가 논의 사안도 지속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국방부와 보훈부는 “이번 전략적 인사 교류를 통해 국토 방위를 성실히 수행하고 사회로 복귀하는 제대군인에게 촘촘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고, 이번 전략적 협업과제를 달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서현우 기자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댓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