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호 기고] ‘동해(東海·East Sea)’ 우리의 바다!

입력 2020. 10. 12   16:06
업데이트 2020. 10. 12   16:09
0 댓글


정 재 호 
국방정보본부·해군대령
정 재 호 국방정보본부·해군대령
동해가 우리의 바다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는 수많은 역사적인 근거를 통해 알 수 있다. 우리 국민은 동해를 당연히 대한민국의 바다라고 생각하지만 국제사회에서 동해를 바라보는 시각도 같을지는 의문이 든다.

세계 여러 국가의 표준 해도집을 보면 동해를 일본해(Sea of Japan)로 표기한 것이 종종 발견된다. 이런 것을 보면 안타깝지만 국제사회에서 ‘동해와 일본해의 표기’ 문제는 논쟁이 진행 중이라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의미 있는 일이 진행되고 있다. 국제수로기구(IHO)가 국제표준 해도집 ‘해양과 바다의 경계’에 명기된 일본해를 동해도 일본해도 아닌 고유 숫자로 식별하는 체계 도입을 제시한 것이다. 이에 대해 한·일 양국은 물론 국제수로기구 회원국 대다수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수로기구의 이러한 제안은 우리 정부와 관련 단체들이 그동안 동해 표기의 정당성을 인정받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지난 1997년부터 우리 정부가 국제수로기구에 ‘동해·일본해’ 병기를 요구하며 시작된 논쟁이 드디어 올해 11월 개최되는 총회에서 의결만을 남겨놓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동해는 당연히 우리의 바다지만 역사적으로 국제사회에서 동해 표기의 정당성을 인정받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잠시 살펴보면, 동해는 한국인이 2000년 이상 사용한 명칭이다. 일본에서조차 1870년까지 ‘조선해’로 지칭해 왔고, 영국의 탐험가이자 지도 제작자인 로버트 더들리가 1646년에 제작한 고지도에도 ‘Mare di Corai’, 즉 ‘한국해’로 표기돼 있다.

반면 일본해라는 표기는 20세기 이후에야 알려졌다. 또한 1929년 국제표준 해도집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 초판이 발간된 이래 일본의 식민지배와 6·25전쟁으로 동해에 대한 우리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었다.

또한 1929년에는 바다에 관한 명칭 제정 시 한·일 양국이 합의로 결정해야 하는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사전에 우리에게 알리지 않고 국제수로기구 회원국에게 일본해 표기를 회람하고 안건에 상정한 사건도 있었다. 이는 당사자인 우리의 입장을 배제한 국제적인 결례라 할 수 있다.

간략하게 소개했지만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 정부와 국민의 노력으로 이제는 영국 더 타임스, 미국 내셔널지오그래픽, 프랑스 르몽드 등 전 세계 언론에서는 동해·일본해를 병기하고 있고, 2020년 세계지도 조사 결과 동해 표기 비율이 40%에 달하고 있다. 또한 동해 해역을 항행하는 연간 40만 척의 선박들은 이 수역의 지명을 ‘동해’로 표기하거나 ‘동해·일본해’를 함께 기록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랜 기간 역사적으로 잘못된 국제법적 관례를 바로잡으려고 온 국민이 동해를 알리는 홍보대사의 역할을 했고, 나도 해군장교이기에 앞서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이러한 노력에 힘을 보탰다. 올해 11월 국제수로기구 총회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국민적 성원을 보내고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댓글

오늘의 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