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저 가산금리…“펀더멘털 성숙”
사상 첫 3대 기축통화 한 해 모두 발행
정부가 총 17억 달러 규모의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을 발행했다고 23일 밝혔다. 달러화 표시 10억 달러, 엔화 표시 1100억 엔(약 7억달러) 씩이다. 달러 외평채는 전액 5년 만기물로, 엔화 외평채는 2년·3년·5.25년·10년 만기물로 나눠 발행했다.
특히 달러 외평채는 미국 국채 대비 가산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0.17%포인트)으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엔화 외평채도 1%대 저금리로, 2023년 엔화 외평채보다 낮은 가산금리가 적용됐다.
기획재정부는 “미 국채와 비교해 우리 외평채를 처음으로 0.10%포인트대 가산금리로 발행했다는 것은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이 한 차원 성숙했다는 의미”라며 “한국 경제 상황과 정책 방향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평가가 개선되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주요국 다른 기관의 채권과 비교하더라도 우리 외평채의 가산금리가 낮다는 점에서도 한국 경제 신인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채권시장에서 우량 채권으로서 지위도 더욱 다질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이번 달러화·엔화 표시까지 올해 총 34억 달러의 외평채 발행으로 외환보유액을 대폭 확충했다. 앞서 정부는 상반기에 14억 유로(약 17억 달러) 표시 외평채를 발행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1998년(40억 달러) 이후로 최대 규모다. 당시에는 외환위기로 부랴부랴 부족한 외화를 충당하는 개념이었다면, 이제는 대외신인도를 한 단계 제고하는 차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와 함께 사상 최초로 3대 기축통화(달러·유로·엔) 표시 외평채를 한 해에 모두 발행했다는 점도 주목된다.
정부는 “우리 외평채에 대한 견조한 수요를 이른바 G3, 세계 3대 금융시장 모두에서 확인하고 외환보유액의 통화 구성도 다변화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이번 외평채 발행을 앞두고 우리 외평채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의 관심을 환기시키고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주요 글로벌 금융기관의 최고위급 인사가 참여한 가운에 9월에는 미국 뉴욕, 10월에는 일본 도쿄에서 각각 ‘대한민국 투자 서밋’과 ‘대면 설명회’를 개최했다. 연합뉴스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