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보베르데, 사상 첫 월드컵 본선행
아이슬란드 이어 역대 두 번째 소국
스웨덴, 코소보에 패해 탈락 위기
독일·슬로바키아 나란히 승전가
|
아프리카 대륙 서쪽에 있는 인구 52만여 명의 섬나라 카보베르데가 사상 처음으로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본선 무대에 오른다.
카보베르데 축구대표팀은 14일(한국시간) 카보베르데 프라이아의 카보베르데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에스와티니와의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프리카 예선 D조 최종전(10차전) 홈 경기에서 3-0으로 이겼다.
전반을 득점 없이 마친 뒤 후반 3분 다일론 리브라멘투의 선제골로 앞선 카보베르데는 6분 뒤 윌리 세메두의 추가 골로 승부를 더 기울였고 추가시간 스토피라의 쐐기 골을 엮어 완승했다.
이로써 카보베르데는 7승 2무 1패, 승점 23으로, 이날 앙골라를 안방으로 불러들여 0-0으로 비긴 카메룬(승점 19·5승 4무 1패)을 제치고 조 1위를 차지해 북중미행 티켓을 손에 넣었다.
카보베르데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카보베르데는 모로코, 튀니지, 이집트, 알제리, 가나에 이어 아프리카에서 6번째로 북중미행을 확정 지었다.
아프리카 서쪽 대서양에 있는 카보베르데는 15개의 섬으로 이뤄진 군도 국가다. 15세기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이래 500여년간 식민지로 있다가 1975년 독립했다.
국토 면적은 4033㎢로 한국의 25분의 1 정도이며, 세계은행에 따르면 인구는 52만5000명에 약간 못 미친다.
카보베르데는 2018년 러시아 대회의 아이슬란드(당시 인구 33만 명)에 이어 월드컵 본선 출전국 중 인구가 두 번째로 적은 나라다.
카보베르데는 비록 작은 나라이지만 축구 열기만큼은 여느 강국 못지않다.
1986년 FIFA에 가입한 카보베르데는 2002년 한일 대회부터 월드컵 예선에 참가해 본선 진출에 도전해왔다.
아프리카 대륙 국가대항전인 네이션스컵에서는 처음 출전한 2013년에 8강에 오르는 이변을 일으켰고, 2023년 대회에서도 다시 8강까지 나아갔다.
2000년에 182위까지 떨어졌던 FIFA 랭킹은 2014년에 27위까지 올랐고, 현재는 70위에 자리하고 있다. 인구 약 14억 명의 중국(94위)보다도 높다.
북유럽 축구 강호 스웨덴은 2회 연속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못 볼 가능성이 커졌다.
스웨덴 축구대표팀은 스웨덴 예테보리의 울레비 경기장에서 열린 유럽 예선 B조 4차전 홈 경기에서 코소보에 0-1로 졌다.
스웨덴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 뛰는 알렉산데르 이사크, 루카스 베리발, 빅토르 요케레스 등을 내세우고도 3경기 연속 무득점 패배를 당했다.
그것도 안방에서 FIFA 랭킹 91위 코소보(스웨덴은 32위)에 무릎을 꿇어 더욱 뼈아팠다.
스웨덴은 이날 패배로 승점 1(1무 3패)에 머물며 조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해 사실상 북중미행은 물 건너갔다.
현재 두 경기만 남은 가운데 스웨덴은 이날 승리로 2위를 유지한 코소보(승점 7·2승 1무 1패)에도 승점 6이 뒤져 있어 본선 진출을 위해서는 기적을 바라야 하는 처지다.
스웨덴은 다음 달 스위스, 슬로베니아와 경기를 남겨뒀다.
반면 코소보는 지난달 홈 경기에서 스웨덴을 2-0으로 누른 데 이어 또다시 스웨덴을 제압하고 사상 첫 월드컵 본선 진출 꿈을 이어갔다.
스위스는 슬로베니아 원정 경기에서 0-0으로 비겨 연승 행진은 멈췄으나 승점 10(3승 1무)으로 조 선두를 달렸다.
A조의 독일은 북아일랜드와의 원정 경기에서 1-0 승리를 거두고 3승 1패, 승점 9로 선두를 유지했다.
슬로바키아는 홈에서 룩셈부르크에 2-0으로 승리해 역시 승점 9(3승 1패)를 쌓았으나 골 득실 차(독일 +5, 슬로바키아 +3)에서 독일에 밀려 조 2위에 자리했다.
D조 프랑스는 아이슬란드와 원정 경기에서 2-2로 비겼으나 3승 1무(승점 10)로 선두 자리는 이어갔다. 연합뉴스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