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국제

“北 비핵화 위해 협상할 수 있어"…3단계 접근법 제시

입력 2025. 09. 18   16:51
업데이트 2025. 09. 18   17:20
0 댓글

이 대통령, 미국 타임지 인터뷰
“핵 프로그램 중단 조치 후 보상
군축, 완전한 비핵화 추구 나서야”
굳건한 한미동맹 의지 밝히며 
‘미·중 사이 가교 역할’ 시사도
 

이재명 대통령이 표지 모델로 등장한 타임지.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이 표지 모델로 등장한 타임지. 대통령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이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협상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18일 공개된 미 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중단하기 위해 그들과 협상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먼저 압박 만이 비핵화의 해답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한 뒤 ‘중단-축소-비핵화’로 이어지는 3단계 접근법을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가 북한에 그저 그만두라고만 하면 그들이 (핵) 프로그램을 멈추겠나”라고 반문하며 “우리가 현재의 압박을 계속 적용하면 북한은 더 많은 폭탄을 계속 생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한 핵 문제에 대해서 우리는 종종 핵무기를 용인할지, 아니면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할지의 ‘전부 아니면 전무(all or nothing)’의 선택으로 생각하지만 나는 중간 지대가 있다고 생각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비핵화를 위해서는 단기·중기·장기 목표를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기 목표로는 그들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멈춰야 한다”고 한 뒤 “그 조치(중단)의 일부에 대해선 보상을 할 수도 있고, 그런 뒤 군축, 그리고 나서 완전한 비핵화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굳건한 한미동맹에 대한 의지를 밝히는 동시에 미·중 관계 등 국제사회에서 강대국들을 잇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우리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가치들은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지리적 인접성과 역사적 관계, 경제적 유대, 민간 교류로 중국과의 관계를 완전히 단절할 수 없다”며 “미국과 함께 할 것이지만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한·중 관계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 “그렇지 않으면 한국이 두 진영 대립의 최전선에 서게 될 위험이 있다”면서 “한국이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했다.

최근 미국과 진행한 무역 협상에 대해서는 미국의 요구조건들이 너무 엄격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그것을 받아들였다면 탄핵당했을 것”이라며 “그래서 미국 협상팀에 합리적인 대안을 요구했다”는 뒷이야기를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열린 정상회담 중 미군기지 소유권을 언급한 것과 관련해서는 “미군은 이미 기지와 땅을 비용을 내지 않고 사용하고 있다”며 “미국이 이를 소유하게 된다면 재산세를 내야하고, 그걸 면제해줄 수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취임 후 가장 큰 성과로는 국내 정치 상황 안정을 꼽았다. 그러면서 “우리 앞에 많은 어려움이 놓여 있지만 우리는 결국 승리할 것으로 믿는다”는 포부를 밝혔다. 맹수열 기자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