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방위사업

한화오션, 60조 원 캐나다 잠수함 사업 최종 후보

입력 2025. 08. 27   16:06
업데이트 2025. 08. 27   16:10
0 댓글

주간 K방산 브리핑

한 주간의 방산 소식을 전해 드립니다. 한화오션은 캐나다 잠수함 사업의 적격후보에 선정됐습니다. 전쟁기념사업회는 ‘K방산과 전쟁 예방’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하고,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는 경남지부 개소식을 했습니다. 서현우 기자

한화오션이 건조한 장보고Ⅲ 배치Ⅱ 잠수함. 한화오션 제공
한화오션이 건조한 장보고Ⅲ 배치Ⅱ 잠수함. 한화오션 제공


3000톤급 ‘장보고Ⅲ 배치Ⅱ’ 제안 
빠른 납기·검증된 솔루션 등 호평
독일 TKMS와 2배수 결선그룹 선정

한화오션이 최대 60조 원 규모의 캐나다 잠수함 사업(CPSP)에서 2배수로 압축한 최종 결선그룹에 이름을 올렸다. 한화오션은 26일 캐나다 해군이 3000톤급 잠수함 12척을 도입하는 사업에서 쇼트리스트(Short List?적격후보)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캐나다 해군은 1998년 영국 해군으로부터 도입해 보유 중인 2400톤 빅토리아급 잠수함 4척을 대체하기 위해 잠수함 조달사업을 추진 중이다. 한화오션의 최종 경쟁 상대는 독일의 티센크루프 마린시스템스(TKMS)다. 이번 사업에는 프랑스 나발그룹, 스페인 나반티아, 스웨덴 사브 등 유럽의 대표 방산업체들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한화오션은 이번 사업에 현존(핵추진 잠수함 제외) 디젤추진 잠수함 가운데 최강의 작전 성능을 가진 3000톤급 ‘장보고Ⅲ 배치(Batch)Ⅱ’를 제안했다.

장보고Ⅲ 배치Ⅱ 잠수함은 공기가 필요 없는 ‘공기불요추진장치(AIP)’와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해 3주 이상 수중작전이 가능하고 최대 7000해리(약 1만2900㎞)를 운항할 수 있다. 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할 수 있는 수직 발사관을 보유하는 등 비대칭 억제전략을 펼칠 역량도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태평양과 대서양, 북극해에 이르기까지 광대한 영역에서 운용할 수 있어 캐나다 해군 작전환경에 최적화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빠른 납기 역량과 검증된 잠수함 솔루션, 현지화 전략 등으로 캐나다 해군의 호평을 이끈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잠수함은 계약 체결 이후 납품까지 보통 9년여가 걸리지만 이를 6년으로 단축할 자신이 있다”며 “현지에 운용, 유지·정비(ISS) 센터도 짓는 등 사업 수주를 위해 모든 자원과 역량을 총동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K방산과 전쟁 예방’ 주제 포럼

전쟁기념사업회는 29일 오후 2시 전쟁기념관 3층 워리어라운지에서 ‘K방산과 전쟁 예방’을 주제로 제10회 KWO 나지포럼을 연다. 행사에서는 채우석 한국방위산업학회 이사장이 ‘K방산과 세계평화’로 주제 발표에 나선다. 이어 백승주 전쟁기념사업회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김영후 한국방위산업MICE협회 이사장, 류연승 명지대 방산안보연구소장, 김귀근 전 연합뉴스 한반도부장이 토론한다.

2024년 시작된 KWO 나지포럼은 ‘전쟁기념사업회(Korea War-memorial Organization) 나라를 지키는 포럼’이라는 뜻이다. 국가 안보의 중요성과 급변하는 국제정세를 정확히 인식하고 이를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개최된다.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경남지부 개소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경상남도 제공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경남지부 개소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경상남도 제공


경남지부 개소 기술교류 추진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경남지부 개소식이 지난 21일 경남진주혁신도시 복합혁신센터에서 열렸다. 행사에는 김명주 경남도 부지사, 손재일(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장, 조규일 진주시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에 개소한 경남지부는 지역 우주항공 관련 기업들의 구심점 역할을 할 계획이다. 기술 교류,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기술 사업화 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볼크와 합병…드론 대량 양산

파블로항공은 지난 22일 인천 송도 본사에서 주주총회를 하고 볼크와의 합병 안건을 통과시켰다. 1983년 설립된 볼크는 방위산업용 소재 및 부품 정밀가공 전문기업이다. 파블로항공은 합병을 통해 국내 유일의 드론 대량생산체계를 갖추고 ‘무인기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볼크의 제조 인프라를 확보해 방산 전용 브랜드 ‘파블로(Pablo)M 시리즈’의 군집 자폭드론 S10s는 물론 개발 중인 중대형 자폭드론과 정찰다목적 드론 등을 대량 양산할 예정이다.


KAI의 전자전 항공기 단계별 대응 개념도. KAI 제공
KAI의 전자전 항공기 단계별 대응 개념도. KAI 제공


전자전 항공기 개발 국내 방산업체 도전장
방사청, 내달 초·중순까지 입찰 시행

KAI·한화·LIG넥스원·대한항공 참여

 

전자전 항공기 개발사업을 두고 국내 주요 방산업체들이 도전장을 던졌다. ‘전자전(Electronic Warfare)’은 전자파를 이용해 적의 레이다, 통신장비, 미사일 등을 무력화하는 체계다. 임무에 따라 전자공격(EA), 전자보호(EP), 전자지원(ES) 등으로 분류된다. 

또 전자전기는 위협신호를 수집·분석해 적 통합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시스템을 전자전 공격으로 교란·마비시키는 체계다. 아군 전력의 생존성과 작전 효과를 높일 수 있어 현대 전장의 필수전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자전기 시장 역시 올해 80억 달러에서 2033년 140억 달러로 연평균 7% 성장이 전망된다.

주요국들은 원거리 전자전기(Stand-Off Jammer)와 근접지원 전자전기(Escort Jammer) 등을 운용 중이다. 원거리 전자전기는 EA-18G(미국), Su-24MP(러시아), J-15D(중국)가 대표적이다. 또 근접지원 전자전기는 EA-37B(미국), IL-20M(쿠트A·러시아), Y-9G(중국) 등이 있다.

 

 

LIG넥스원이 체계통합을 추진하는 한국형 전자전기 형상. LIG넥스원 제공
LIG넥스원이 체계통합을 추진하는 한국형 전자전기 형상. LIG넥스원 제공



우리나라도 전자전 기체 전력화를 추진 중이다. 방위사업청(방사청)은 올 상반기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2034년까지 전자전기 블록Ⅰ 체계개발 기본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방사청은 다음 달 초·중순까지 입찰제안서를 받는데, 여기에 국내 주요 방산기업들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먼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한화시스템과 손잡고 입찰에 참여했다. KAI는 항공기 최적화 설계 및 체계통합 자체 수행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유인기 시험평가와 민·군 감항 인증 전환 경험 보유기업이란 점도 내세웠다. 특히 KF-21EX와 유·무인 복합체계 등 전자전 항공기 국내 기술 연속성·활용성에 강점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다양한 항공기 플랫폼 개발로 사업관리 및 리스크 대응력을 보유한 이력도 역설하고 있다.

LIG넥스원은 대한항공과 뜻을 모았다. LIG넥스원은 47년간 국방과학연구소와 축적해 온 전자기전 핵심 기술로 전자기전 체계를 개발한 경험을 강조한다. 전투기용 전자전 장비(ALQ-200)를 비롯해 항공플랫폼 SIGINT 체계와 KF-21 통합전자전장비 개발을 목전에 두고 있는 점도 내세운다. 특히 말레이시아 FA-50 RWR과 페루 해군 함정용 종합솔루션 계약으로 기술력 우위를 확보한 점도 역설하고 있다. 서현우 기자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