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방한 빌 게이츠 접견
보건 협력·SMR·AI 관련 의견 나눠
한국 기업 차세대 원전 경쟁력 강조
|
이재명 대통령이 21일 세계적인 기업가이자 사회사업가인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을 만나 글로벌 보건 협력과 소형모듈원자로(SMR), 인공지능(AI) 미래 산업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인 게이츠 이사장은 게이츠재단을 통해 각종 백신 개발 등 보건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SMR 개발사인 테라파워의 창업주이기도 하다. 한국 방문은 지난 2022년 이후 3년 만이다.
이 대통령은 MS의 컴퓨터 운영체제 윈도우즈(Windows)를 언급하며 세상을 보는 ‘창’을 넓힌 소프트웨어 혁신의 의의를 높이 평가했다. 그는 “윈도우즈를 통해 사람들이 모두 세상을 보는 창문을 가지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게이츠 이사장이 백신 개발 등 글로벌 보건과 친환경 발전시설 개발 등 새로운 공공재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점에 대해 “존경스럽다”는 표현을 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취임 초기에 이 대통령을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눌 수 있어 매우 기쁘다”고 감사의 뜻을 전하고 “거의 유일하게 세계 복지 수여국에서 공여국으로 변모한 한국이 글로벌 보건 개선에 지속적으로 기여해 줄 것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AI 기술의 등장과 함께한 발전과 진보도 있지만, 의료 서비스 분야의 비용 상승 및 저소득 국가에서의 차별이 우려된다”면서 “다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AI, 반도체, SMR 등 미래 기술에 대한 의견도 나눴다. 이 대통령은 “SMR이 AI나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의 전력 수요 증가에 효과적 해법이 될 수 있다”는 게이츠 이사장의 말에 “한국 정부도 차세대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관심이 많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소형 원자로를 개발하는 국내 기업이 많다. 세계 시장에서의 활약이 점차 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한국이야말로 SMR의 강자가 될 수 있다”며 “우리 기업들도 준비를 많이 하고 있고 해외 시장에서도 한국이 SMR에서 굉장한 강점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게이츠 이사장의 활발한 사회공헌 활동을 거론하며 “지구와 지구인 전체를 위한 공공 활동을 하는 것에 경의를 표한다. 대한민국 정부도 함께할 방법을 최대한 찾겠다”고 말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재단 사업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앞으로 20년 동안 아동 사망자 수를 연간 200만 명 이하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이 이 분야에서 혁신적인 바이오 사이언스 제품을 통해 핵심적인 역할을 할 방법이 있다”고 제안했다. 이 밖에도 솔루션 개발 분야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자는 의견도 내놓았다.
게이츠 이사장은 이 대통령의 방미 일정을 언급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를 잘 나누라”는 덕담을 전하기도 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어려운 일이지만 슬기롭게 잘 대화하겠다”고 화답했다.
맹수열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