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서 보관해오다 유엔사로 인도
국유단, 최종감식 통해 국적 확인 예정
본국 송환 또는 부산 유엔공원에 안장
|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21일 유엔군사령부(유엔사)로부터 6·25전쟁 때 대한민국을 지키다 장렬히 산화한 튀르키예군 추정 유해 4위(位)를 인수했다.
유해 인수식은 국유단 신원확인센터 앞에 마련된 야외 행사장에서 열렸다. 행사는 살리 무랏 타메르 주한 튀르키예 대사와 이근원 국유단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유해봉송 △개식사 △국민의례 △추모사 △헌화·묵념 △유해봉송 △신원확인센터 안치 순으로 진행됐다.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은 지난 14일 정밀감식을 거쳐 보관 중이던 튀르키예군 유해를 하와이 히캄 공군기지에서 오산 공군기지로 운송 후 유엔사로 인도했다. 유엔사는 이 유해를 경기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 내 주한 미8군 영현소에 임시 보관해 왔다.
미 DPAA가 6·25전쟁 참전 튀르키예군 유해를 바로 본국으로 송환하지 않고 유엔사를 경유해 국유단에 인도한 것은 유엔군이라는 이름 아래 대한민국의 자유·평화와 자유를 지키고자 싸운 고인들을 예우하기 위해서다. 유엔군 전사자들을 끝까지 책임지고 보답하겠다는 우리 국방부의 의지도 담겼다.
국유단 관계자는 “튀르키예는 전사자 예우에 대한 정서가 우리나라·미국 등과는 다르다. ‘전사한 장소가 곧 순교의 땅’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있어 타국일지라도 전사한 곳에 묻히는 것을 명예로 여긴다”며 “이에 따라 추가 정밀감식을 거친 뒤 주한튀르키예대사관과 협의해 본국 송환 또는 부산 유엔기념공원 안장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튀르키예군 추정 유해는 미 DPAA가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북한 지역에서 수습한 유해 3위와 1984년부터 추진 중인 하와이 국립태평양기념묘지(펀치볼) 재개장 과정에서 확인된 유해 1위다. 국유단은 최종감식을 통해 국적을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이근원 국유단장은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을 위해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유엔군의 헌신을 기억하고, 끝까지 보답하는 게 우리의 책무”라며 “오늘 튀르키예군 추정 참전용사 네 분의 유해를 받았고, 최종 정밀감식 후 주한튀르키예 대사관과 긴밀히 협의해 최고의 예우를 다하는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윤병노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