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장관, 통상전략 회의서 밝혀
“마스가·투자 패키지, 기업에 기회”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장관은 4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우리 기업의 단기적 수출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한미 관세 협상을 마치고 지난 1일 귀국했다. 귀국 후 첫 일정으로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대미 통상 전략 라운드 테이블’을 주재하고 이같이 밝혔다.
김 장관은 한미 관세 협상 결과와 관련해 “한국은 주요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경쟁 조건을 확보했다”고 평가하고 전략 산업 분야의 미국 진출 기회가 늘어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1500억 달러의 ‘마스가(MASGA)’라는 조선 협력 프로젝트, 그리고 나머지 20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는 반도체, 배터리, 에너지 등 전략 산업 분야에서 한미 산업 협력을 강화하고 우리 기업에 새로운 진출 계획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조선과 나머지 2000억 달러의 대미 패키지는 우리 경제와 기업에 실질적 도움 될 수 있도록 미국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일본과 유럽연합(EU)은 각각 5500억 달러, 60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고 상호관세율을 각각 25%, 30%에서 15%로 내렸다. 이어 한국은 지난달 30일 ‘마스가’로 명명한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35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제시하며 상호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췄다.
산업부는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이날 처음 경제단체, 주요 업종별 협회, 학계 등이 참석하는 대미 통상 전략 회의를 열어 이 같은 협상 결과를 업계와 공유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먼저 이번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주요국과 동등한 경쟁 여건이 마련된 것을 높이 평가했다.
이어 미국의 상호관세 15% 부과를 앞두고 업종별 취약 분야에 대한 차질 없는 지원과 기업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대미 투자 패키지 등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했다.
조아미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