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 공간 큐레이팅 ‘공연장으로 간 미술’
계단·정원·통로 등 전시장 밖서 회화·설치 작품 등 전시
미술관에서만 볼 수 있었던 예술 작품들이 도심 속 일상으로 외출에 나섰다.
세종문화회관은 오는 12월 28일까지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계단·로비·예술의 정원과 서울시 용산구 노들섬 서울시발레단 연습실 로비에서 2025 세종문화회관 공간 큐레이팅 전시 ‘공연장으로 간 미술’을 진행한다.
이번 전시는 미술관과 공연장을 전형적인 공간을 넘어 관객이 우연히 예술 작품을 만나는 순간을 통해 일상이 예술로 전환되는 경험을 전하고자 기획됐다. 관객들이 공연을 기다리는 동안 무대를 오가는 통로, 연습실로 향하는 길목, 잠시 쉬어가는 로비까지 그동안 주목받지 않던 공간을 예술 플랫폼으로 재해석했다.
전시에는 각기 다른 감각을 지닌 이세현, 이동기, 변경수, 정다운 등 작가 네 명의 작품이 소개된다.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남측과 북측 계단에 이세현 작가의 ‘Beyond Red-023AUG01’ 등 회화 작품 8점과 이동기 작가의 ‘버블’ 등 5점이 전시된다. 대극장 로비의 유휴공간과 예술의 정원 S씨어터 상부에는 변경수 작가의 설치 작품인 ‘달콤한 뚱땡이’가 자리해 시민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한강변에 있는 서울 용산구 노들섬 서울시발레단 연습실 로비에는 정다운 작가의 설치 작품 ‘빛의 무대’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관람을 원하는 시민은 공연 예매 없이 자유롭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세종문화회관 안호상 사장은 “이번 전시는 세종문화회관이 지닌 공간의 또 다른 가능성을 열어보는 의미 있는 실험”이라며 “관객이 무심코 지나치던 곳에서 예술과 마주하고, 그 만남 자체가 하나의 ‘무대’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노성수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