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호관세 통보…내달 1일 적용
정부, 불확실성 해소 위해 총력
관련 업종 지원·제도 개선 등 박차
정부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25% 상호관세 서신 발송과 관련, 추가 협상에 진력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대통령실은 8일 “김용범 정책실장이 대미 통상 현안 관계 부처 대책회의를 개최, 미국의 관세 조치 현황과 대응 계획을 논의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김 실장은 회의에서 “새 정부 출범 이후 한 달 남짓한 동안 한미 통상장관·안보실장 협의,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등 양자·다자회의에서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다양한 이슈들을 포괄해 최종 합의까지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며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고 강조했다.
그는 “당장 관세율이 인상되는 상황은 피했고, 이달 말까지 대응 시간을 확보한 만큼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상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다행히 시장 반응은 차분하지만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자동차·철강 등 국내 관련 업종에 대한 지원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는 한편 시장 다변화 등 수출 대책도 보강해 달라”고 주문했다.
대통령실은 “현재 미국을 방문 중인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귀국하면 정책실·안보실의 공동회의를 개최해 관련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책을 협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역시 협상에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산업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직후 “다음 달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것으로 보고,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기 위해 남은 기간 상호 호혜적인 협상 결과 도출을 위해 협상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산업부는 “미국 측의 주된 관심사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국내 제도 개선, 규제 합리화 등과 함께 두 나라 사이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통해 핵심 산업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자로 한 서한에서 한국에 다음 달 1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 관세율은 지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할 때 한국에 책정한 것과 같은 수치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 1일부터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만큼 이 시한은 20여 일 동안 자동으로 연장된 셈이다. 정부는 이 기간에 미국과 새로운 통상협상을 타결하겠다는 방침이다. 맹수열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