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8~11일 전국 571개 직업계고 3학년을 대상으로 ‘2025년 직업 기초능력 평가’를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 접수인원은 지난해(5만8711명)보다 6.3% 증가한 6만2390명이다. 교육부와 대한상의가 함께 운영하는 ‘직업 기초능력 평가’는 직업계고 실무 기반 핵심 역량을 객관적으로 진단해 학생들의 진로 설계와 기업의 고졸 인재 채용을 돕기 위해 2015년 도입됐다.
평가 내용은 의사소통(국어)·의사소통(영어)·수리활용·문제해결·직무적응 총 5개 영역으로 구성되며,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직업 기초능력을 모두 포함한다.
또 실제 근무환경에서 요구되는 정보탐색력·분석력·상황판단력 등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구성해 기업들이 학생들의 실무 기반 문제해결력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평가 결과가 종이 출력물 형태에서 디지털 배지 발급으로 변경된다. 대한상의는 다음 달부터 디지털 배지를 ‘고용24’(고용노동부 고용서비스 포털)와 연계할 계획이다. 기업은 디지털 배지로 지원자의 실무 역량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대한상의가 지난 5월 실시한 ‘직업 기초능력 평가에 대한 기업 인식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66.3%가 향후 고졸 인재 채용 시 직업 기초능력 평가 결과를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현재 한국관광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항공우주산업, DB하이텍, 크라운제과 등 주요 공기업과 대기업들이 실제 직업 기초능력 평가를 활용 중이다.
대한상의는 연 1회 이뤄지는 평가를 연 2회로 확대 시행하는 방안을 최근 정부에 건의했다. 연합뉴스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