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국제

한·일·대만 “반도체 관세, 美 산업에 부메랑 될 것”

입력 2025. 05. 22   17:13
업데이트 2025. 05. 22   17:17
0 댓글

주요 생산국·EU, 미 정부에 자제 촉구
“비용 증가·공급망 불안정 초래할 것”
미 기업들도 경쟁력 약화 가능성 경고

세계 주요 반도체 생산국과 기업이 미국의 반도체 관세가 반도체 산업의 비용 증가와 공급망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며 미국 정부에 자제를 촉구했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연방 관보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수입 반도체와 반도체 제조장비, 반도체를 사용한 파생 제품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와 관련해 지난 7일까지 206건의 의견서를 접수했다.

우리 정부는 한국이 미국에 주로 메모리반도체를 수출하면서 미국에서는 로직칩과 반도체 제조장비를 수입하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라고 강조하고, 관세가 이런 관계를 훼손하고 궁극적으로 미국 반도체 산업을 약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한국의 HBM(고대역폭메모리)과 첨단 DRAM이 미국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확장에 필수적인 부품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미국 정부의 ‘전략적이고 신중한 접근’을 당부했다.

또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는 한국 기업들이 당분간은 반도체 제조장비와 소재를 수입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관세가 대미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한국에 대한 ‘특별한 고려’를 요청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도 정부와 유사한 논리의 의견서를 제출했다.

일본 정부는 그 어느 한 나라도 반도체 가치사슬 전체를 내재화할 수 없으며 관세는 미국의 반도체 사용자와 설계기업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일본은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강화 노력에 협력한다면서 제조장비, 소재, 파생 제품에 대한 관세를 재고할 것을 촉구했다.

대만 정부는 대만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데 필수적인 파트너”라면서 대만산 반도체 등을 관세에서 제외해달라고 촉구했다. 대만 TSMC는 TSMC를 비롯해 미국 내 반도체 제조사업에 투자를 이미 약속한 기업은 관세와 기타 수입 제한 조치에서 예외로 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유럽연합(EU)은 반도체 공급망을 불안정하게 하고 무역을 제한하는 미국의 일방적인 조치는 EU와 미국의 협력과 신뢰, 무역·투자 관계를 훼손할 수 있어 자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미국 기업들도 관세에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는 일률적인 관세는 미국 내 반도체 생산과 기술 개발 비용을 키울 위험이 있다면서 관세를 부과할 경우 저율관세할당(TRQ) 도입, 다른 관세와 중첩 방지 등의 조치를 통해 그런 위험을 완화할 것을 제안했다.

미국 반도체 기업인 인텔도 미국에서 쉽게 구할 수 없는 장비와 소재, 미국의 지식재산권을 활용해 만든 반도체 웨이퍼 등은 관세 예외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미국 주요 자동차 제조사를 대변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은 다량의 반도체를 탑재한 자동차의 생산비용이 증가해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의 경쟁력이 약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