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경의 커리어비전 스쿨
⑦ 퇴역 후 커리어 향해, 배움이 나침반이다
군 복무 중 학습, 이렇게 시작하세요.
공부, 선택 아닌 인생의 필수 전략
기존 역량에 새로운 능력 더한다면
도전 쉬워지고 일상에 활력도 생겨
제대 군인과 중장년 모두에게 필요한 가장 현실적인 준비
“이 나이에 뭘 더 배워?” “배운다고 어디에 써먹지?”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제대 군인, 새롭게 전환점을 맞는 청년, 퇴직 후 삶을 다시 설계하려는 중장년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드는 질문이지요. 하지만 조금만 다른 시각을 더해 보면 배움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인생의 필수전략’입니다.
100세 시대, 경력 공백이 아니라 새 기회
우리는 100세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55세 전후에 은퇴한다고 가정해도, 이후 시간이 40~50년에 이릅니다. 이 시간을 의미 있고 활기차게 보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게 바로 ‘배움’입니다. 배움은 단지 무언가 익히는 것을 넘어 나를 세상과 연결하고 나 자신을 다시 발견하게 해 주는 통로가 됩니다.
빠르게 변하는 세상, 살아남는 자의 무기
디지털 기술은 매일 발전하고 전통적인 직업군은 빠르게 재편됩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사회는 ‘완벽한 사람’보다 ‘변화에 잘 적응하는 사람’을 선호합니다. 그 적응력은 ‘배우려는 태도’에서 나옵니다.
취업에 성공하는 이들의 공통점 중 하나도 배움에 열려 있는 자세입니다. 이들은 부족한 영역을 스스로 학습하고, 빠르게 환경에 적응해 성과를 만들어 냅니다. 이 점은 제대 군인, 청년, 중장년 모두에게 해당하는 이야기입니다. 누구나 배움을 통해 자신만의 경쟁력을 새롭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제대 군인에게 배움은 재도약의 디딤돌
전역 후 가장 먼저 마주하는 감정은 ‘막막함’일 수 있습니다.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감이 오지 않죠.
이때 배움은 자신을 다시 설계할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군에서 쌓은 체계적인 사고, 강한 책임감, 조직 생활 경험에 더해 디지털 지식, 자격증,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덧붙이면 경쟁력은 더욱 강해집니다.
실제로 전역자 중 영상 편집, 마케팅, 드론, 창업교육 등으로 제2의 경력을 시작하는 분이 많습니다. 배우고, 다시 도전하고, 자신만의 무대를 만들어 가는 겁니다.
배움은 삶의 활력소
중장년층에 최근 가장 인기 있는 교육 중 하나가 ‘디지털 교육’입니다.
60대에 유튜브 편집을 배우는 분, 50대에 심리상담 자격증에 도전하는 분, 처음으로 스마트폰 사용법을 익히는 분들까지 누구나 자신의 속도대로 도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취업을 준비하는 중장년층에는 디지털 역량이 필수입니다. 협업툴 ‘노션’ 사용법, 인공지능(AI) 활용법, 구글 드라이브 등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받으며 새로운 커리어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과연 할 수 있을까?” 걱정하시던 분들이 교육을 마치면 “생활이 정말 편리해졌어요”라며 변화의 순간을 이야기하십니다. 배움은 삶을 바꾸는 가장 강력한 동력입니다.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다시 삶을 설계하고, 조직과 사회에서는 필요한 역량으로 연결됩니다.
함께하는 배움, 공동체를 만들다
학습의 또 다른 효과는 ‘관계 회복’입니다. 제대 후 또는 퇴직 후에는 소속감을 잃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 때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공부하고, 얘기하고,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는 과정은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줍니다. 외로움을 극복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학습이란 이야기를 많은 분이 해 주십니다.
학습은 지식 이상의 가치
많은 중장년분이 ‘학습’이란 단어에서 여전히 ‘시험’의 이미지를 떠올립니다. 이제 배움은 점수를 위한 것이 아니라 ‘삶을 풍요롭게 하는 도구’입니다. 학습을 하면서 “여전히 성장할 수 있다”는 확신이 생기고, 그것이 삶의 활력이 됩니다. 배움은 더 이상 특별한 사람들만의 영역이 아닙니다. 지금 내가 배우는 이 시간이 미래의 나를 더 건강하게, 더 유능하게, 더 행복하게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학습은 뇌 건강도 증진시킵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60세 이후에도 꾸준히 학습하는 이는 인지기능 유지와 치매 예방에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낯선 개념을 익히고, 생각을 정리하며 표현하고, 사람들과 나누는 이 모든 과정이 뇌를 자극하는 최고의 훈련입니다. 다시 말해 학습은 ‘마음의 헬스장’이며, 건강하게 오래 사는 가장 확실한 습관입니다.
실천을 위한 방법, 말로 시작하자
제가 오랫동안 하는 방법인데, 실제 교육생분들께 소개한 뒤 많은 분이 도움이 됐다고 합니다. 혹시 마음속으로만 ‘배워야지…’ 생각하고 있다면, 오늘 당장 주변 사람에게 이야기해 보세요.
본인이 배우고 싶은 게 있다면 그 내용과 이후 어떻게 할 것인지 얘기해 보세요. 말로 꺼내면 사람들이 궁금해 물어봅니다. “그래서 시작했어?” “아직도 시작 안 했어?” 이 질문이 행동하게 만드는 힘이 됩니다.
지금 당장 완벽한 계획이 없어도 괜찮습니다. 배우고자 하는 마음, 그것이 시작입니다. 군 복무 중 배움은 오히려 가장 집중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여러분의 인생 2막, 배움으로 다시 설계되길 응원합니다!
1. 온라인 교육 플랫폼 활용
▶ 국방부 나라배움터(mnd.nhi.go.kr): 인문학, 자격증, 디지털 등 다양한 무료 강의
▶ 에듀윌·해커스 군 장병 전용관: 자격증·공무원시험 대비용 무료 수강권 제공
2. 자격증 학습과 검정고시 준비
▶ 장병 인기 자격증: 지게차, 드론, 운전면허, 워드프로세스, 컴퓨터활용능력, 한국사, 사회복지사 등 부대 내 자격증 대비반 참여
▶ 전역 전 최소 1~2개 취득 추천
3. 독서와 글쓰기
▶ 사고력, 표현력, 자기성찰 훈련
▶ 부대 도서관, 종교시설, 가족 통한 도서 수령 가능
4. 국민내일 배움카드(www.work24.go.kr)
▶ 전역 예정인 군 간부 또는 중·장기복무 제대 군인 신청 가능
5. 학습 소모임 만들기
▶ 디지털, 창업, 외국어 등 주제별 스터디
▶ 자격증 함께 준비, 주 1회 발표 등 동기부여 효과
▶ 전역 후 3개월 학습계획, 지금부터
- 1개월: 디지털 기초+자격증 준비
- 2개월: 취업 특강·상담
- 3개월: 이력서·면접 준비
6. 국가 지원제도 적극 활용
▶ 국방전직교육원, 취업맞춤특기병, 전직지원센터: 전직 컨설팅, 직업훈련, 자격증 지원 등
7. 중장년 교육 온라인 플랫폼 활용
▶ 워크위즈(www.workwiz.co.kr)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