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국방안보

공중 진화 수단 기술적 보완…산불 전략 전면 재정비 전환점으로

입력 2025. 04. 10   16:43
업데이트 2025. 04. 10   16:44
0 댓글

국회 유용원·정희용 의원 공동
국가 산불재난대응체계 혁신 세미나
공군 수송기·퇴역 헬기 활용 논의

 

10일 유용원(맨 앞줄 가운데)·정희용(맨 앞줄 오른쪽 셋째) 의원이 공동주최한 국가 산불재난대응체계 혁신을 위한 긴급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유용원 의원실 제공
10일 유용원(맨 앞줄 가운데)·정희용(맨 앞줄 오른쪽 셋째) 의원이 공동주최한 국가 산불재난대응체계 혁신을 위한 긴급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유용원 의원실 제공



경남·경북지역 대형 산불로 국가 산불대응체계의 전반적인 재점검이 요구되는 가운데 공군 수송기, 퇴역 헬기 등을 개조해 대용량 진화 자산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국회 세미나에서 논의됐다.

다만 수송기의 경우 물 살포 고도가 높고, 별도의 장비운용·관리요원이 필요하다는 점과 함께 군의 현행작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유용원 의원과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희용 의원은 1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국가 산불재난대응체계 혁신을 위한 긴급 세미나를 공동 주최했다.

이번 행사는 공중 진화 수단의 기술적 보완은 물론 감시체계 고도화, 인력 운영 방식의 전환, 제도적 기반 정비 등 국가 산불 대응 전략을 총체적으로 점검하면서 실질적인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추진됐다.

참석자들은 공중 진화 수단인 헬기의 제한된 담수량, 강풍·연무·안개 등 기상 조건에 따른 이착륙 지연, 지휘체계 단절, 실시간 정보 공유의 미흡 등을 언급하며 초기 대응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가 반복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고정익 기반의 대형 진화체계를 운용하거나, 퇴역 헬기를 개조해 대용량 진화 자산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을 도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감시·정보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열화상 드론, 고고도 무인기(UAV), 산불 상황도 자동 생성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현장 인력 운영 방식의 개선도 중요한 과제라는 점을 언급하면서 산불 진화대의 상시 전담 조직화, 체계적 훈련 시스템 정비, 고용 안정성 확보 등을 제안했다.

유 의원은 “오늘 세미나가 민·관·군이 힘을 모아 산불 대응 전략을 전면 재정비하는 일대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더는 초대형 산불이 예고된 재난으로 반복되지 않도록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과 현장 중심의 정책 마련에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임채무 기자

< 저작권자 ⓒ 국방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0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