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 개최
AI 3대 강국 도약 위한 청사진 제시
내년 상반기 GPU 1만8000장 확충
독자모델 개발 ‘국가 AI 전환’ 가속화
정부가 인공지능(AI) 국가대표팀을 꾸려 세계 최고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20일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개최한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집중 투자를 통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차세대 AI 모델 개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AI 전환 가속화를 목표로 설정했다.
특히 AI 국가대표 프로젝트인 ‘월드 베스트 LLM(가칭)’을 추진, AI 정예팀을 선발해 세계 최고 수준의 LLM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1만8000장 규모의 첨단 그래픽 처리장치(GPU)를 확충하는 등 인프라 확보에도 힘을 기울일 예정이다. 궁극적으로는 우리 AI 컴퓨팅 인프라로 우리 AI 인재가 개발한 우리만의 독자적인 AI 모델을 만들어 국가 AI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이를 위해 회의에 참석한 각 부처는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 역량 강화방안’ ‘AI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AI 활용 확산방안’ ‘AI 데이터 확충 및 개방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참석자들은 빠른 시간 안에 세계 최고 수준의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고 AI 핵심 인재 양성과 해외 인재 유치를 강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특히 중국 딥시크가 촉발한 ‘AI 쇼크’에 주목, 글로벌 AI 환경이 급변하는 지금이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또 미국과 중국을 필두로 주요 선진국이 글로벌 AI 주도권 확보를 위해 총력전을 펼치는 상황에도 주목했다. 특히 일부 국가가 이미 천문학적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한 것에 주목, 우리 역시 정부 차원의 집중 지원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위원회가 AI 3대 강국 도약을 이끌어 나가는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제언도 있었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는 30여 년 전 가장 앞서 초고속 인터넷망을 확충하고 글로벌 모범이 되는 전자정부를 구축해 정보화 강국으로 도약한 경험과 저력이 있다”며 “제조 강국, 정보통신 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모든 힘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위원회에는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 장·차관 등 정부 관계자 10여 명과 염재호 태재대 총장과 최수연 네이버 대표 등 AI 분야 민간 전문가 30여 명이 참석했다.
맹수열 기자
오늘의 뉴스
Hot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이 기사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